‘성완종 리스트’에 오른 8명 가운데 2012년 대선 당시 박근혜 캠프에서 중책을 맡았던 서병수 부산시장과 새누리당 홍문종 의원, 유정복 인천시장 등 3명의 역할이 부각되고 있다. 검찰의 칼끝이 2012년 대선자금을 겨눈 상황에서 이들은 하나같이 ‘검은돈’을 받지 않았다면서 결백을 주장했다.
성 전 회장이 남긴 메모에는 ‘부산시장(2억), 홍문종(2억), 유정복(3억)’이라고 적혀 있다. 서 시장은 2012년 대선 당시 새누리당 사무총장이었고 캠프에선 당무조정본부장을 맡았다. 사무총장으로서 조직과 회계를 비롯한 당의 살림을 총괄했고, 선거와 관련해 각종 보급 업무를 담당하는 핵심 역할을 한 것이다.
홍 의원과 유 시장은 각각 조직총괄본부장과 직능총괄본부장을 지냈다. 조직총괄본부는 전국을 읍·면·동 등 지역 단위로 나눠 현지 민심을 살피면서 선거 지원을 책임진다. 당시 조직총괄본부에는 60만여명이 소속돼 있었고 상근직원만 200여명이었다.
직능총괄본부는 노동단체뿐 아니라 요식협회, 미용사 단체 등 전국의 직업·업종별 단체 등을 맡아 ‘표심 몰이’를 하는 곳이다. 캠프 여러 조직 중 직접 현장 상황을 수시로 챙기는 이 두 곳에서 사용되는 돈이 가장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13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새누리당은 2012년 대선 이후 선거비용 468억여원을 보전해 달라고 신청했다. 심사 과정을 거쳐 국가로부터 453억여원을 보전받았다. 대선에서 후보자가 당선되거나 득표수가 유효투표 총수의 15% 이상인 정당에 대해 국가는 선거비용을 전액 지급한다는 공직선거법에 따른 것이다.
당내 경선 과정과 예비후보자 시기까지 필요한 비용을 모두 합하면 투명한 절차를 거친 ‘공식 자금’만으로는 빠듯할 수 있다. 또 당시 과열됐던 선거 분위기를 감안하면 비공식 자금이 투입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있다.
그러나 이들 3명은 모두 의혹을 완강히 부인했다. 서 시장은 언론 인터뷰에서 “당시 박 대통령은 악습의 고리를 끊겠다는 의지가 확고해 법이 허용하는 범위 밖의 돈은 결코 받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홍 의원은 언론 인터뷰에서 “성 전 회장더러 밥값이라도 한 번 내라고 했으면 덜 억울하겠다”고 말했다. 또 “박 대통령은 돈 문제에 관해선 엄청난 알레르기가 있었다”며 “시·도당 위원들과 식사할 때 식탁에 ‘돈통’을 놓고 각자 미리 밥값을 걷을 정도였다”고도 했다. 유 시장 역시 “성 전 회장으로부터 1원 한푼 받은 적이 없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관련기사 보기]
[‘성완종 리스트’ 파문] 홍문종·유정복·서병수 대선 당시 직책은… 朴캠프 조직·살림 총괄 ‘핵심역’
입력 2015-04-14 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