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완구 국무총리는 13일 검찰의 ‘성완종 리스트’ 수사와 관련한 국회 대정부 질문 답변에서 “총리를 포함한 어떤 누구도 필요하다면 수사 대상에 들어가야 한다. 검찰의 소환 요청이 있으면 응하겠다”고 말했다. 성역 없는 수사를 천명한 박근혜 대통령의 언급이 없었더라도 법 앞에 만인이 평등한 만큼 이 총리 답변은 지극히 당연하다.
그러나 이 총리의 처신은 국회 답변과는 거리가 멀다는 느낌을 떨칠 수 없다. 이 총리는 지난 11일 성 전 경남기업 회장 측근들에게 전화를 걸어 자신과 관련된 내용을 꼬치꼬치 캐물었다고 한다. 이 총리가 이용희 태안군의회 부의장과 김진권 전 태안군의회 의장 두 사람에게 전화한 횟수만 도합 15회에 이른다. 이 총리는 통화에서 “왜 언론사에 그런 제보를 했느냐” “지금 5000만 국민이 시끄럽다. 내가 총리니까 나에게 얘기하라”고 말했다는 게 성 전 회장 측 주장이다.
이 총리는 “고인이 메모에 제 이름을 남겼고 태안군의회 부의장이 저와 친분이 있다. 친분 있는 사람에게 전화해서 알아보는 건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해명했다. 그는 리스트에 올랐으나 액수는 적혀 있지 않다. 이 총리로선 성 전 회장이 왜 자기를 거명했는지 억울한 측면이 있을 수 있다. 그렇다고 성 전 회장 측근들에게 직접 전화해 그 이유를 캐물은 것은 총리에 걸맞은 자세는 아니다. 입단속용이란 오해를 받을 만하다. 사실확인 전화라면 15차례나 할 일도 아니고, 비서실을 통해서도 충분하다.
금품 수수 여부는 누구보다 본인이 가장 잘 알 것이다. 하늘을 우러러 한점 부끄럼이 없다면 도둑이 제 발 저린 것마냥 조급할 까닭이 없다고 본다. 검찰이 살아 있는 권력에 없는 죄를 만들어 뒤집어씌울 리도 만무하다. 문제의 리스트에 현 정부 실세들이 총망라돼 있어 당사자들은 오해를 살 만한 어떤 언행도 해선 안 된다. 자칫 검찰 수사에 대한 외압으로 비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총리는 취임 전 경솔하고 부적절한 발언으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켜 국회 임명동의 과정을 가까스로 통과한 얼마 전의 교훈을 벌써 잊은 듯하다. 솔선수범해야 할 총리부터 부적절한 처신으로 의혹을 증폭시키니 특검론이 더욱 힘을 얻는 것이다.
[사설] 석연찮은 李 총리 처신 의혹만 키운다
입력 2015-04-14 0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