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은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이 자살 직전 김기춘·허태열 전 청와대 비서실장에게 거액을 건넸다고 주장한 것에 대해 10일 “사건을 ‘친박 권력형 비리게이트’로 명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김성수 대변인은 이날 오후 긴급 대책회의 결과를 발표하며 “이렇게(친박게이트) 명명한 이유는 이번 사건이 헌정 사상 초유의 집단뇌물사건이라는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며 “이렇게 집단적으로 권력형 실세들이 뇌물을 수수한 사건은 헌정 사상 처음이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새정치연합은 ‘친박 권력형 비리게이트 대책위원회’를 구성키로 하고, 위원장은 전병헌 최고위원이 맡기로 했다. 당은 13일부터 시작되는 대정부 질문에서 이번 사건의 진상을 파헤치기 위한 질의에 집중키로 했다. 문재인 대표는 회의에서 “이번 사건이 매우 충격적”이라며 “나라가 걱정이다. 철저하게 진상을 밝혀야 한다. 철저하게 진상을 규명하는 것은 야당의 책무”라고 말했다.
새정치연합은 오전 확대간부회의에서도 “판도라의 상자가 열렸다”(전병헌 최고위원) 등 발언이 쏟아졌다. 유승희 최고위원은 유서 공개와 함께 특검을 요구하기도 했다. 주승용 최고위원은 오후에 별도 성명을 내고 “박 대통령의 전·현직 비서실장과 국무총리 등이 연루된 전형적인 ‘권력형 부정부패 사건’”이라며 “올해 3월 말 임명된 이석수 ‘1호 특별감찰관’의 ‘1호 감찰사건’이 되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새정치연합은 오전까지만 해도 이번 사건을 ‘박근혜 정권 최대 스캔들’로 명명했으나, 사태가 심각하게 돌아가자 아예 ‘친박게이트’로 의미를 부여하면서 쟁점화에 나섰다.
새정치연합은 이번 사건으로 자칫 해외 자원개발 국정조사의 동력이 약화될 가능성도 경계했다. 우윤근 원내대표는 “성 전 회장 사망으로 자원외교의 진실을 밝히는 것이 흐지부지돼선 안 된다”며 이명박 전 대통령 등 핵심 5인방의 증인 채택을 촉구했다.
이번 사건이 4·29재보선 국면에서 야권에 호재가 될 가능성도 높다. 오전 비공개 지도부회의에서는 이번 사건의 성격을 ‘대선자금’으로 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으나 ‘불법 정치자금’으로 신중하게 접근하는 것으로 정리됐다고 한다. 새정치연합이 구체적 정보를 쥔 것도 아니고, 선거 당일 보수 표심이 어떻게 뭉칠지도 모르는 상황인 만큼 단계적 대응을 하겠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
[관련기사 보기]
[‘성완종 리스트’ 파문] 새정치연합 “친박 권력형 비리게이트” 총공세
입력 2015-04-11 0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