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전단 살포에 무자비한 불세례 가할 것”

입력 2015-04-11 02:32
일부 탈북자단체의 대북전단 살포 재개 소식이 전해지자 북한이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전단 살포 시 무력대응도 불사할 것임을 재차 강조했다.

북한 대남선전사이트 ‘우리민족끼리’는 10일 ‘무자비한 보복의 불세례를 면치 못할 것이다’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우리는 이미 할 말을 다했으며 인내와 자제력도 한계점을 넘어서고 있다”며 “상상할 수 없는 강력한 타격으로 무자비하게 징벌해도 괴뢰패당은 할 말이 없게 됐다”고 주장했다.

우리민족끼리는 전단 살포가 청와대와 국가정보원의 ‘배후조종’에 따른 것이라며 “대결과 전쟁의 불씨를 날려 북침 핵전쟁 연습을 실전으로 확대하려는 계획적인 도발행위”라고 비난했다. 이어 “우리 군대의 강철포신은 일촉즉발의 격동상태에서 도발자들을 조준경에 잡아넣고 일거일동을 주시하고 있다”고 위협했다.

그동안 탈북자단체들은 대북전단 살포를 자제해오다 요 며칠 사이 기습적으로 살포를 재개했다. 지난달 말 박상학 자유북한운동연합 대표는 “북한이 천안함 폭침에 대해 사과할 때까지 보류하겠다”고 밝혔으나 2주일 만인 지난 9일 재차 살포를 시도했다. 앞서 지난 주말 이민복 북한동포직접돕기운동 대북풍선단장도 전단을 북한으로 날려 보낸 바 있다.

북한은 대북전단 살포에 대해 ‘최고존엄 모독’이라며 강하게 반발해오고 있다.

지난해 10월 황병서 북한군 총정치국장 등이 남측을 찾아 2차 고위급 접촉을 약속했으나, 대북전단 문제로 무산된 바 있다. 최근 개성공단 임금인상 문제를 둘러싸고 불거진 남북 간 신경전에도 파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대북전단 문제가 남북관계의 돌발변수로 자리 잡은 모양새다.

우리 정부는 살포 재개에 대해서 원칙적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임병철 통일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전단 살포는 기본권인 표현의 자유에 해당하며 강제로 규율할 수 없는 사안”이라면서도 “타인에게 위해를 주거나 공공질서를 위협해서는 안 된다는 법적 한계도 있다. 국민의 기본권 보장과 지역주민 보호 등을 균형 있게 고려해 대처하겠다”고 말했다.

조성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