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최근 승인한 중학교 교과서에서 일본 학자들조차 인정하지 않는 ‘임나일본부설’ 등 기존 식민사관을 강화한 것으로 8일 알려졌다.
지난 6일 일본 문부과학성이 승인한 중학교 교과서 18종을 검토한 소식통들과 시민단체들에 따르면 새 교과서 대부분이 ‘391년 왜(倭)가 백제와 신라를 신하로 삼았다’는 등의 임나일본부설을 다루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임나일본부설은 일본이 4세기부터 한반도를 지배했다는 주장으로 중국 지린성에 있는 광개토대왕비 내용이나 ‘일본서기’ 내용 일부를 근거로 하지만 2003년부터 한·일 양국 역사 공동연구에서 일본 학자들조차 이를 인정하지 않은 학설이다.
검정을 통과한 일본 대부분의 중학교 교과서에선 침략전쟁에 대한 반성이 사라지고 식민사관이 부활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표적인 우익 교과서인 지유샤 교과서는 검정신청본에 ‘임나일본부’라는 용어를 실었다가 문부과학성의 수정 지시를 받고 내용은 유지한 채 해당 용어만 삭제했다. 이 교과서는 조선통신사가 일본에 조공을 하기 위해 방문한 것처럼 표현했다.
이밖에도 많은 교과서가 임진왜란을 ‘침략’이 아니라 ‘출병’이라고 표현해 침략을 희석하는 등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권 하에서 일본의 역사 인식이 퇴보하는 모양새다.
이처럼 자국에서조차 불분명한 학설이 교과서에 강화된 것은 다분히 아베 정권의 의도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동북아재단 관계자는 “새로 검정을 통과한 일본 중학교 교과서의 고대사 부분에서 임나일본부설 등 내용이 얼마나 왜곡됐는지 정밀 검증한 뒤 대응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아베, 이제 고대사까지… ‘임나일본부설’ 교과서 수록
입력 2015-04-09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