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대통령 ‘세월호 1주기’ 추모·소통 방식 고민 중

입력 2015-04-09 02:09
오는 16일 세월호 참사 1주기가 1주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박근혜 대통령의 추모와 소통 방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박 대통령이 지난 6일 세월호 선체 인양에 대한 ‘적극 검토’ 의지를 밝혔고, 또 최근 원활한 소통 행보를 보여주는 만큼 세월호 유족들과의 만남이 있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청와대는 우선 세월호 1주기 당일 박 대통령의 행보에 대해선 구체적인 언급을 삼가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8일 “여러 방안을 갖고 검토 중이고 많은 건의도 듣고 있다”고 말했다.

일단 청와대 안팎의 기류를 볼 때 16일 박 대통령이 청와대 내부에서 세월호 유족들을 만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다만 당일 여러 곳에서 벌어지는 세월호 관련 행사 중 한 곳을 찾거나 관련 메시지를 통해 유족과 국민에게 위로와 국민 통합의 메시지를 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세월호안산시민대책위원회는 16일 안산에서 합동분향식을 계획하고 있고, 서울에선 첫 국민안전의 날을 맞아 정부 차원의 기념식이 개최된다. 전남 진도 등 각지에서도 관련 행사가 열린다.

일각에선 세월호 희생자 가족들이 세월호 특별법 시행령 철회를 주장하는 상황에서 박 대통령이 이들을 직접 만나는 데에는 많은 부담이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이완구 국무총리가 이번 주 중 세월호 유족들을 만나기로 한 것이나 1주기를 맞아 안산 합동분향식에 참가하기로 한 것이 박 대통령의 불참을 전제로 한 것 아니냐는 말도 나온다.

박 대통령이 세월호 유족들을 만난 것은 네 차례다. 지난해 사고 발생 다음날인 4월 17일과 5월 4일 진도 팽목항을 찾아 희생자 가족들을 위로했고, 29일에는 경기도 안산의 합동분향소를 찾았다. 5월 16일에는 청와대에서 희생자 가족 대표를 만나 다시 한번 위로를 건넸다. 이후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둘러싼 여야 대치와 공방 속에 일부 유족들이 대통령 면담을 요구했지만 이들을 만나지 않았다.

한편 박 대통령은 8일 청와대로 민간 봉사단체인 한국라이온스연합회 대표단을 초청, 간담회를 하고 공무원연금 개혁과 경제혁신 3개년 계획, 4대 부문 구조개혁 등 주요 국정과제에 대한 협조를 당부했다. 박 대통령은 “개혁 추진 과정에서 갈등과 장애 요인이 없을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더욱 여러분과 같이 우리 사회 리더들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남혁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