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교육교재 동영상 제작… 효과 의문

입력 2015-04-09 02:05

한·일 역사 갈등이 고조되는 가운데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다룬 초·중·고교 학생용 교재를 만들었다. 하지만 학생 개개인의 손에 쥐어지는 책자 형태가 아니라 온라인에서 내려받아야 하는 동영상 형태다. 학교 현장에서 이용하기 어려울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독도 교재의 경우 해마다 책자 200만부가 학생들에게 배부되고 있다.

여성가족부는 8일 “‘일본군 위안부 바로알기’ 교재를 제작해 올해 하반기부터 각 학교에서 교육에 활용할 수 있게 한다”고 밝혔다. 교재는 학생용 수업자료(워크북), 동영상, 프레젠테이션 자료 등이다.

이 교재는 교사들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e역사관’ 등 홈페이지에서 내려받아야 한다. 워크북은 다음 달 책자로 제작되지만 전국 교육청과 교육지원청 193곳, 공공도서관 800여곳에만 놓인다.

반면 독도 교재는 이달 중으로 책자 200만부가 제작돼 각 학교에 배포될 예정이다. 전국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3학년, 고교 1학년 학생 1명당 1부씩이다. 정부는 2011년부터 해마다 해당 학년에 독도 교재를 배포해 왔다. 교육부 관계자는 “수년간 지속적으로 배포해 초등 6학년 이상은 누구나 한 권씩 독도 교재를 갖게 된다”면서 “해마다 업데이트 작업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위안부 교육에 대한 정부 의지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독도 문제에 관해선 연간 10시간씩 교육과정 내 교육이 권장되지만 위안부 교육은 가이드라인이 없다.

현재 독도 교육은 교육부가, 위안부 문제는 여가부가 주무 부처다. 여가부 관계자는 “교육부와 협의해 더 체계적으로 교육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