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이슈] 옐런도 버핏도 “美 소득 불균형 걱정”

입력 2015-04-07 02:48
재닛 옐런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
워런 버핏 버크셔해서웨이 회장
미국 중앙은행 수장과 월가의 억만장자 투자가가 잇따라 소득 불균형 이슈를 제기했다.

재닛 옐런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지난 2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경제적 이동성(economic mobility)’ 주제로 열린 연준 세미나에서 “더 많은 경제적 기회와 이동성 부여가 경제 활성화를 촉진한다”며 “어떤 정책이 사람들로 하여금 경제적 사다리에서 위로 올라가거나 아래로 떨어지게 하는지를 알 수 있도록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경제적 이동성이란 개인이 소득과 사회적 지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여지를 뜻한다.

옐런 의장은 연설에서 미국의 소득 불균형이 심각해지고 있음을 상기시키면서 정책을 어떻게 운용해야 사람들에게 더 많은 기회가 부여될지를 깊이 있게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옐런은 지난해 10월 연준 콘퍼런스에서도 “미국의 소득 불균형을 매우 우려한다”고 말했다. 이 발언에 대해 공화당은 “(민주당원 출신인) 연준 의장이 정치적으로 편향된 견해를 밝혀 중간선거(지난해 11월)를 앞둔 민주당을 돕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에 옐런은 “나는 정치적 발언을 한 게 아니라 미국이 직면한 중대한 문제를 논하려는 것”이라고 맞섰다. 연준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인 상위 10%의 2013년 소득은 1989년보다 34% 증가한 반면 중산층(40∼60%)은 고작 1% 늘어나는데 그쳤다.

투자회사 버크셔해서웨이를 이끄는 워런 버핏도 지난 3일 CNN과의 인터뷰에서 소득 불균형 심화에 대해 우려했다. 버핏은 “포브스 선정 400대 부자를 보면 1982년에는 이들의 부(富)를 합친 액수가 920억 달러였는데 지금은 2조3000억 달러로 불어났다”면서 “내가 태어났을 때(1930년)에 비해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6배 증가했지만 여러 계층의 많은 이들이 뒤처져 있음이 엄연한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소득 불균형 개선을 위해선 최저임금을 올리는 것보다 저소득층의 세액공제를 확대하는 게 효과적이라고 덧붙였다.

천지우 기자 mog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