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조정실이 3일 중앙부처 과장급 이상 간부 공무원 전원을 대상으로 외부 근무에 대한 실태 조사에 착수했다. 최근 일부 공무원의 근무태만 적발을 계기로 내린 강력한 조치다. 하지만 관가 내부에선 공무원 조직 전체를 문제 조직으로 몰아갈 수 있는 지나친 ‘군기 잡기’라는 비판도 제기됐다.
국무조정실은 간부 공무원들에게 최근 3개월간 외부 일정과 관련한 상세한 행적을 제출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각 부처 감사관실은 언제, 어디서, 누구를 어떤 이유로 만났는지 등을 담은 보고서 형식의 자료를 제출받을 계획이다. 이후 청사 출입기록 등을 토대로 보고된 내용이 사실인지를 따져보겠다는 것이다. 실제 조사는 외부 일정이 잦은 상위 20%에 집중될 것으로 알려졌다.
국무조정실은 정부부처가 대부분 세종시로 이전한 뒤 일부 간부들이 출장과 외부 회의 등을 이유로 근무를 소홀히 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고 보고 조사에 나섰다. 최근 기획재정부의 한 과장급 간부는 출장을 핑계로 서울청사와 세종청사 어느 곳에도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 행태를 보이다 적발됐다.
이완구 국무총리가 본격적인 ‘공직기강 다잡기’에 나섰다는 해석도 나왔다. 이 총리는 지난 2월 취임식에서 “개인의 사사로운 이익을 위해 기강을 무너뜨리는 일은 결코 용납할 수 없다”고 밝혔다. 또 기자들과 만나 “그동안 정부기관의 공직기강이 많이 흐트러진 느낌”이라며 “신상필벌의 원칙을 철저히 지키겠다”고도 했다.
하지만 관가에선 볼멘소리가 터져 나왔다. 중앙부처의 한 공무원은 “근무 시간을 철저히 지키라는 취지는 이해할 수 있지만 군대식으로 기강을 잡는 듯한 방식에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중앙부처 과장급 이상 간부 최근 3개월 행적 제출하라”
입력 2015-04-04 0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