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범훈 前 수석 수사 두산그룹까지 겨누나

입력 2015-04-02 02:21
박범훈(67) 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비서관의 직권남용 혐의를 수사 중인 검찰이 각종 비위행위의 대가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검찰은 박 전 수석이 중앙대에 베푼 각종 특혜가 단순한 애교심 차원이 아닌 ‘뒷거래’의 대가일 수 있다고 의심하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4부(부장검사 배종혁)는 박 전 수석이 중앙대 안성캠퍼스 통합 과정, 적십자간호대학 인수 등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대가를 얻었는지 파악 중인 것으로 1일 전해졌다. 검찰은 현재 박 전 수석의 범죄 혐의를 직권남용과 횡령으로 한정한 상태다. 하지만 단서가 있으면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는 입장이다. 검찰 관계자는 “가장 혜택을 본 이가 누구인지 살펴볼 것”이라고 말했다.

특혜 의혹이 불거진 중앙대의 재단 이사장은 박용성(75) 두산중공업 회장이다. 이에 따라 검찰 수사가 최종적으로 중앙대 재단을 운영하는 두산그룹을 향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두산그룹의 중앙대 인수를 도운 박 전 수석과 두산그룹 사이의 관계가 갈수록 돈독해졌다는 점도 이런 관측을 뒷받침한다.

박 전 수석의 부인 A씨는 2011년 박 전 수석이 청와대 근무를 시작하자 두산타워 측에 상가 투자 의사를 표시했고, 두산타워는 2009년의 시세로 A씨와 임대차 계약을 맺었다(국민일보 4월 1일자 13면 참조). 두산타워는 해당 거래가 특혜가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반면 상인연합회는 당시 두산타워가 특별히 관리하는 고객들에게만 임차권을 내줬다고 주장한다.

박 전 수석은 청와대 근무를 마친 뒤 지난해 3월 두산엔진 사외이사로 선임됐다. 지난해에 박 전 수석의 장녀(34)가 중앙대 교수로 임명되기도 했다. 이를 두고 박 전 수석이 중앙대에 베푼 특혜를 보상받은 것이라는 뒷말이 많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