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행정의 목표설정 과정은 교회행정가에게 중요한 방향제시가 된다. 교회의 부흥과 발전을 위한 첫 단계가 된다. 이는 교회가 인적, 물적, 재정적 자원의 총량을 특정 목표에 따라 합리적으로 배분하려는 시발점이다.
목표설정은 모든 교회활동의 토대다. 목사와 성도간의 합의가 이루어져야만 통합된 목표가 설정될 수 있다. 통합된 목표가 형성돼야만 교회전체가 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게 된다. 교회행정 목표란 하나님의 뜻을 따라 목사와 성도가 이루고자하는 바람직한 미래의 상태라고 정의 할 수 있다.
그것은 곧 교회가 도달할 수 있는 가장 높은 단계를 포함한다. 목표 설정은 움직이는 교회행정 과정의 첫 단계로서 창의적 이어야한다. 가장 많은 갈등을 내포하는 의사 결정과정이기도하다. 애굽에서의 모세와 백성들의 목표설정은 출애굽 이었다. 여호수아와 백성들은 여리고성 정복이었고 느헤미야와 유다 백성들의 목표설정은 예루살렘 성벽재건 이었다. 겟세마네 동산과 최후의 만찬에서 예수님의 목표설정은 십자가와 부활이었다.
하나님이 함께하는 지도자는 목표설정이 정확하고 분명하다. 발전하는 직장은 사장과 사원이 회사의 목표설정에 합의한다. 부흥하는 교회는 목회자와 성도간의 목표설정에 갈등을 최소화한다. 바꾸어 말하면 목회자가 세우는 교회 목표가 성도가 되고자하는 목표에 부합할 때 건강하고 튼튼한 교회로 성장한다.
국가발전도 대통령의 목표와 국민의 목표가 부합될 때 태평성대를 누릴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목회자는 목표설정을 위해서 기도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도 끊임없이 기도해야 한다. 목표 설정을 정확하게 한 후에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과 방법으로 정책을 결정하고 조직을 편성하며 사람을 세우는 인사행정, 예산을 세우는 재무행정, 그리고 일을 맡기는 사무행정이 필요하다.
목표가 분명하면 사명이 생기고 사명이 분명하면 용기가 충천하고 용기가 충천하면 담력과 능력이 뒤따르게 된다. 인류구원을 향한 예수님의 목표설정, 출애굽을 위한 모세의 목표설정, 가나안에 들어가는 여호수아의 목표설정, 로마를 복음화하려는 바울사도의 목표설정 그리고 독일의 루터와 프랑스의 장 칼뱅, 영국 존 웨슬리의 거룩하고 위대한 목표설정이 오늘의 세계교회와 한국교회를 건설했다고 본다.
2015년 독자 여러분의 목표설정은 무엇인가. 성경적인 목표 설정과 창조적인 목표설정을 분명하게 했다면 무슨 일이든 반드시 성공하는 한 해가 될 것이다.
<서울신대 교회행정학 겸임교수>
[양기성 교수의 교회행정 산책] (10) 목표설정이 성패를 좌우하다
입력 2015-04-03 0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