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시장 구조개선을 위한 논의를 진행 중인 노사정이 대타협 시한인 31일 늦은 밤까지 막판 협상을 벌였지만 시한 내 합의점을 찾는 데 실패했다. 노사정은 1일로 논의를 이어가며 최종 합의 도출을 시도할 계획이다.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노동시장구조개선특별위원회는 이날 오후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과 김대환 노사정위원장, 박병원 경총 회장, 김동만 한국노총 위원장이 만나는 노사정 4자 대표급 회동을 갖고 최종 줄다리기를 벌였지만 자정을 넘기도록 합의안을 도출하지 못했다. 전날 오후 열린 특위 전체회의를 시작으로 8인 연석회의, 4자 대표 회의 등을 연달아 가지며 마라톤 회의를 벌였지만 접점을 좁히는 데는 실패했다. 노사정위 관계자는 “당초 밝힌 31일 시한 내 합의를 내긴 어려운 상황이지만, 4자 대표 회의와 8인 연석회의는 1일 오전까지 논의를 계속해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노총이 이날 개최한 중앙집행위원회에서 비정규직 사용기간 연장·파견대상 업무 확대, 휴일근로의 연장근로 포함 방안, 정년연장·임금피크제 의무화, 임금체계 개편, 일반해고 요건완화 등을 5대 수용불가 사항으로 규정하면서 논의는 공전을 거듭했다. 한국노총은 “5대 수용불가 사항을 철회하지 않으면 합의할 수 없다”면서 “논의는 계속하되 협상과 투쟁을 병행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한국노총 금속노련, 화학노련, 고무산업노련과 민주노총 금속노조, 화학섬유연맹 등 양 노총 제조부문 노조는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일방적인 합의를 강행하면 제조 부문 노동자들이 공동 총파업을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
노사정 대타협 진통, 합의 시한 넘겨… 오늘 계속 논의
입력 2015-04-01 0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