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건설이 베트남 고속도로 공사 과정에서 하청업체 2곳을 이용, 또 다른 비자금 20억여원을 조성한 정황이 검찰에 포착됐다. 이번에 발견된 부외자금 20억여원은 지금까지 포스코건설이 흥우산업을 통해 쌓은 것으로 알려졌던 비자금 40억여원과 별개다. 정동화(64) 전 포스코건설 부회장과 그 ‘윗선’을 향한 수사망이 점점 좁혀지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검사 조상준)는 포스코건설이 베트남 고속도로 건설사업에 협력사로 참여한 S사, W사를 상대로 거래대금을 부풀리는 수법으로 20억여원의 비자금을 조성한 혐의를 포착했다고 31일 밝혔다. 검찰은 이 비자금의 조성 및 국내 유입 과정에 포스코의 정치권 창구 역할을 한 컨설팅업체 I사 대표 장모(64)씨가 개입했다고 파악한다. 장씨와 정 전 부회장은 중학교 동문으로 알려졌다. 흥우산업을 통해 비자금 40억여원을 조성, 윗선에 전달한 혐의를 받고 있는 박모(52·구속) 전 포스코건설 상무도 평소 장씨를 어려워할 정도였다고 검찰은 설명했다.
장씨는 S사와 W사가 베트남 건설현장에서 하도급을 받을 수 있도록 힘썼고, 이때 정 전 부회장도 영향력을 행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장씨를 통한 비자금은 지난해 포스코건설의 자체 내부감사 때 적발되지 않았던 부분이다. 검찰은 지난주 S사와 W사를 압수수색했고, 지난 27일 장씨에게 업무상횡령 및 업무방해 혐의를 적용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검찰은 장씨가 정치권 인사들과 가깝게 지내며 사실상 로비스트 역할을 맡아 왔다는 사실에 주목, 비자금의 정·관계 유입 여부에 대해서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대북 사업가로 활동하며 건설업체를 경영해온 장씨는 1997년 대선을 앞두고 벌어진 이른바 ‘총풍 사건’, 2002년 불법 대선자금 사건에서도 이름이 등장했다.
검찰은 두 갈래로 유입된 뭉칫돈이 박 전 상무를 연결고리 삼아 최종적으로는 정 전 부회장에게 전달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길(비자금 흐름)이 갈라져 있는데, 그 길의 끝은 같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경원 기자
포스코건설 20억대 비자금 추가 포착
입력 2015-04-01 0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