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춘천과 원주지역에 건립 예정인 열병합발전소에 대한 주민 반발이 거세다. 춘천시 동산면 주민들로 구성된 ‘열병합발전소 건립 반대 추진위원회’는 열병합발전소 건립에 대한 주민 찬반투표를 실시할 것을 시에 요구했다고 31일 밝혔다. 반추위는 조만간 탄원서를 시와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등지에 전달할 예정이다.
이용우 반추위 위원장은 “동산면에는 90년대 생활쓰레기 매립장을 시작으로 공원묘지, 화장장까지 각종 혐오·기피시설이 집중되고 있다”면서 “여기에다 열병합발전소까지 들어서는 것은 시가 동산면 주민들을 무시하는 것으로 밖에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춘천시 관계자는 “인허가가 마무리되는 등 사업이 상당부분 진척된 상황에서 주민 찬반투표 등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춘천 열병합발전소는 동산면 동춘천산업단지 7만6300㎡ 부지에 건립될 예정이다. 포스코건설, 한진중공업, 한국동서발전, 범창엔지니어링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설립한 춘천에너지가 올해부터 2017년까지 6800억원을 투입해 짓는다. 앞서 2012년에도 춘천시와 포스코건설은 석사동 안마산 일대에 열병합발전소 건립을 추진했지만 주민 반발로 무산됐다.
원주 열병합발전소도 주민 저항이 만만치 않다. 문막읍 궁촌리 등 6개 마을 주민으로 이뤄진 ‘SRF(폐기물 고형연료) 열병합발전소 반대대책위원회’는 지난 30일 원주시청 앞 광장에서 집회를 열고 발전소 건립 백지화를 요구했다. 반대위는 “시가 화훼단지특수목적법인에 3억원을 출자한 것은 발전소에 청정 친환경연료를 사용한다는 것이 조건이었으나 연료가 SRF로 바뀌었다”고 주장했다.
원주 문막읍 반계산업단지 내에는 반계산업단지와 화훼특화관광단지 등에 열을 공급할 SRF 열병합발전소(32.2㎿)가 건립될 예정이다. 이 발전소는 각종 폐기물 가운데 불에 타는 물질만 걸러내 만든 고형연료를 사용하는 시설이다. 주민들은 SRF의 유해성을 주장하며 건설을 반대하고 있다. 원주시 관계자는 “정부로부터 인증을 받은 업체가 생산한 친환경 연료를 사용하겠다”면서 “발전소 가동 시 문제가 생기면 가동을 즉각 중단 시키겠다”고 밝혔다.
춘천=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
주민 반발 커지는 춘천·원주 열병합발전소… 춘천 주민들 찬반투표 요구, 원주에선 건립 백지화 시위
입력 2015-04-01 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