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해상 조난사고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차세대 국제안전통신센터를 구축한다. 현재는 기술상 조난자 위치 파악 오차가 5㎞가량이지만 내년에는 수m 내로 좁혀지고 실시간 현장 확인이 가능해진다.
국민안전처는 54억원을 들여 차세대 국제조난안전통신망(GMDSS) 등 해상안전통신망을 통합·관리하는 국제안전통신센터를 인천 해양경비안전본부에 연말까지 구축한다고 31일 밝혔다.
국제안전통신센터에는 GMDSS를 비롯해 해상 통신을 관리하는 해양안전통신국, 해상문자방송 시스템 등이 들어선다. GMDSS는 전 세계 해상에서 발생하는 조난신호를 감지해 수색구조 기관에 전달, 구조 활동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해상통신 제도다.
정부는 세월호 참사 이후 국가 전체 초기 대응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추진해 온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사업 세부추진계획도 이날 국무회의에서 확정했다. 재난안전통신망 사업은 경찰, 군 등 8대 분야 필수기관 333곳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전국 단일 무선통신망을 멀티미디어가 가능한 최첨단 LTE 방식으로 구축하는 사업이다. 올해부터 2017년까지 단계적으로 운영센터 2곳과 기지국 1만1000곳이 세워지고 단말기 21만대가 보급될 예정이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
해상 조난자 빨리 찾는다… LTE 재난망 2017년까지 구축
입력 2015-04-01 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