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심장충격기 의무화’ 교육청 외면… 부산 초·중·고 4%만 설치

입력 2015-03-31 02:07
정부가 안전사고 발생시 ‘골든타임’ 확보를 위해 각급 학교에 자동제세동기(심장충격기) 설치와 심폐소생술교육을 의무화하고 있지만 시·도 교육청이 예산 등을 이유로 외면하고 있다.

30일 부산시교육청에 따르면 교육부는 지난해 세월호 사고 이후 학생 대상 재난안전교육 방법과 시기 등을 규정한 7대 교육안전영역을 마련, 심폐소생술과 심장충격기 교육을 의무화하도록 했다.

그러나 부산지역 621개 초·중·고교 가운데 자동제세동기를 비치한 곳은 초등 8곳, 중·고교 18곳 등 26개교로 전체의 4%에 불과하다. 이마저 교육청과 학교예산으로 비치한 곳은 단 한 곳도 없고, 대부분 자판기회사 등으로부터 협찬을 받아 설치했다.

부산 재송동 센텀고교의 경우 지난달 음료수 자판기 설치회사에서 매점에 자판기를 설치하면서 자동제세동기 2대를 협찬받아 설치했다.

또 자동제세동기를 활용한 심폐소생술교육도 정기적으로 실시하지 않고 각급 학교별로 사정에 따라 소방본부와 적십자사 등을 통해 극히 일부 학교에서만 실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자동제세동기 설치 비용이 대당 300여만원의 고가인데다 교육을 받지 않아도 강제규정이 없기 때문이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