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경남기업 워크아웃(기업 재무구조개선) 과정에서 채권단에 외압을 행사한 의혹이 감사원에 포착된 것으로 확인됐다. 경남기업은 자원외교 비리에 연루돼 현재 검찰 수사를 받고 있다. 금감원의 외압설이 사실로 확인될 경우 워크아웃 당시의 감독 당국 수장이던 최수현 전 금감원장까지 파장이 미칠 것으로 보인다.
감사원은 기관운영감사 과정에서 금감원이 지난해 1월 경남기업 워크아웃 승인 과정 중 대주주인 성완종 회장 의견을 들어주라고 주채권은행인 신한은행에 압력을 행사한 정황을 발견한 것으로 알려졌다. 감사원 관계자는 26일 “이 같은 정황을 심도 있게 검토해 다음달 말까지 감사 결과를 공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감사원은 금감원의 전직 임원이 경남기업 자금지원 과정에서 연결고리 역할을 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2009년 1월 2차 워크아웃에 돌입한 경남기업은 2011년 5월 조기 졸업에 성공했지만 2012년 당기순손실 243억원을 기록하며 또다시 위기에 몰렸다. 2013년 들어 유동성 위기를 겪으며 그해 10월 세 번째 워크아웃을 신청했다. 실사를 맡은 회계법인과 신한은행은 대주주 지분의 무상감자를 실시해야 한다고 보고했으나 이 임원은 이를 거부하고 성 회장 의견대로 자금 지원을 받아들이라고 요구한 것으로 감사원은 보고 있다. 성 회장은 금융 당국을 담당하는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의원이었다. 일각에서는 금감원 전직 임원의 단독 행동이 아닐 거라는 관측도 나온다. 정무위 사정에 밝은 한 관계자는 “당시 정무위 회의가 열리는 날이면 성 회장과 최 전 금감원장이 보좌관들을 다 물리고 독대하는 일도 많았다”고 전했다. 당시 금융권에서는 성 회장이 정무위 의원 신분으로 자금지원 민원을 한다는 얘기가 많이 돌았다.
금감원의 개입 이후 경남기업 자금지원은 일사천리로 진행됐다. 지난해 2월 무상감자 없는 1000억원 출자전환과 신규 자금 3800억원 등 6300억원대 자금 지원을 약속받았다. 이를 통해 대주주는 50억여원의 이익을, 채권단은 100억여원의 손실을 봤다.
이에 대해 금감원 관계자는 “금감원이 받아본 최종 실사 결과에는 감자 의견 없이 출자전환 의견만 담겨 있었다”며 “금감원이 신한은행과 회계법인의 실사 과정에서 사전 논의한 일이 없다”고 해명했다.
경남기업의 자원개발 비리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부장검사 임관혁)는 국세청과 관세청으로부터 경남기업 자금 관련 자료들을 제출받아 비자금 조성 및 탈세 여부를 확인 중이다. 검찰은 지난 25일 국세청이 2013년 경남기업 및 계열사들에 대해 실시한 세무조사 자료를 제출받았다. 관세청으로부터는 경남기업과 계열사 여러 곳에 대한 외환거래 자료를 제출받아 함께 검토하고 있다.
조성은 백상진 이경원 기자 jse130801@kmib.co.kr
금감원, 경남기업 채권단에 외압 의혹
입력 2015-03-27 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