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고위 공직자들의 평균 재산이 1년 사이에 2억원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불황 속에서도 부동산 가격만큼은 상승했기 때문이다. 전체 재산공개 대상자의 70%가량이 전년도보다 재산을 불렸다.
국회·대법원·헌법재판소·정부·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공직자윤리위원회는 26일 고위 공직자 2302명의 정기 재산변동 신고 내용을 관보에 공개했다.
신고 내역에 따르면 국회의원, 법관, 고위 공무원, 선관위 상임위원 등의 평균 재산은 15억3400만원으로 전년도(13억2000만원)에 비해 2억원 이상 올랐다. 3%대 경제성장률 기조와 경기 불황이 수년째 이어지면서 서민들의 경제적 고통이 커지는 상황에서도 고위 공직자들은 10% 이상의 재산 증식을 이룬 셈이다.
정부 공직자윤리위는 개별공시지가 4.07% 상승, 개별단독주택 공시가격 3.73% 상승, 급여저축 증가 등을 이들의 재산증식 이유로 꼽았다. 토지와 아파트 가격이 오르면서 전체 재산이 늘었다는 설명이다.
국회 공직자윤리위 공개 내역을 살펴봐도 지난 2월 말 현재 재산을 등록한 국회의원 292명 중 239명(81.8%)의 재산이 증가했다. 1억원 이상 재산을 불린 의원이 134명, 5억원 이상도 12명이나 됐다.
국회의원들의 1인당 평균 재산은 28억5674만원이었다. 정당별로는 새누리당이 36억7651만원, 새정치연합 19억2635만원, 정의당 4억2164만원을 기록했다.
중앙·지방정부 고위 공직자를 망라한 정부 공직자윤리위 공개 대상자(1825명) 가운데는 1212명(66.1%)의 재산이 증가했다. 이들의 평균 재산은 12억9200만원으로 1년 전에 비해 9400만원 늘었다. 1억원 이상 재산을 불린 공직자는 377명(31.1%)이었다.
박근혜 대통령의 재산(총 31억6950만원)도 자서전 인세수입 증가와 급여 저축 등으로 지난해보다 3억3592만원 늘었다. 이완구 국무총리는 지난해보다 7393만원 감소한 11억3067만원을 신고했다. 정부부처 장관 등 국무위원의 평균 재산은 18억5000만원이었다.
공개 대상 고등법원 부장판사급 이상 고위 법관과 헌법재판관 등 167명 중에서도 119명(71.3%)의 재산이 증가했다. 이들의 평균 재산은 19억7502만원이었으며, 양승태 대법원장과 박한철 헌법재판소장은 각각 39억250만원과 14억740만원을 신고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여전히 빚이 재산보다 6억8000만원 많았고,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의 재산은 6억3000만원이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
‘불황 無風’ 고위공직자 70% 재산 늘어… 2302명 변동 내용 공개
입력 2015-03-27 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