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帝 광둥성 섬에도 조선인 위안소 운영… 중일전쟁 중 30∼40명

입력 2015-03-26 02:35
일제가 1937년 중일전쟁 발발 이후 중국 남부 광둥성의 섬에서도 조선인 여성들을 동원한 일본군 위안소를 운영한 것으로 드러났다.

중국 민간단체인 ‘싼짜오다오 일제침략만행 조사연구단’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일본 오키나와현 나고시 시사(市史) 자료’를 공개했다고 반관영통신인 중국신문사가 25일 보도했다. 자료에는 1937년 12월 일본 해군 육전대가 광둥성 앞바다 섬인 싼짜오다오에 상륙해 주민을 무차별 학살한 뒤 오키나와의 자국 농민 400명가량을 이주시켰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당시 일본군은 싼짜오다오에 중국 남부지역 공략을 위한 군용 비행장을 건설했고 비행장을 장기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농업이민단을 파견했다. 이 과정에서 일본군에 학살된 주민과 노동자가 8000명이 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군은 당시 비행장 부근에 지휘본부를 두고 본부 입구에는 위안소를 설치했다. 자료에는 “‘조선하녀(朝鮮婢)’로 불렸던 조선 여성 30∼40명이 있었다”고 적혀 있다. 중일전쟁 이후 본격적으로 확산된 일본군 위안부 규모는 40만여명으로 추정된다. 중국 측에서는 이 중 중국 여성이 20만명, 조선 여성이 14만∼16만명에 달했던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중국 언론은 난징 위안소의 한 위안부가 열흘 동안 178명의 남자를 상대했다는 충격적인 기록을 보도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일본의 한 시민단체가 일본군 위안부 관련 전시회를 열려다 당국의 시설 사용 거부로 무산됐다고 도쿄신문이 이날 보도했다. 일본 사이타마현 니자시의 시민단체인 ‘니자 젠더 평등 네트워크’는 27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시가 운영하는 한 갤러리에서 ‘전후 위안부들은 어떻게 됐을까’라는 제목의 전시회를 열 계획이었다. 하지만 갤러리 사용 신청에 대해 허가권을 지닌 시 교육위원회가 시설 사용 규정 위반이라는 석연치 않은 이유로 사용 허가를 거부했다. ‘여성들의 전쟁과 평화자료관’의 이케다 에리코 관장은 “항의받을 것을 우려해 시 교육위원회가 자체 규제한 것이라면 그냥 넘어갈 수 없는 중대한 문제”라고 밝혔다.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이종선 기자

khmae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