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당파 정치 최대 현안 된 네타냐후

입력 2015-03-26 02:07
중동 정책에 대한 재검토와 함께 연일 ‘네타냐후 때리기’에 여념이 없는 오바마 정부와 반발하는 공화당이 정면충돌하면서 미·이스라엘 양국은 물론 미 정치권 내 대립도 한층 격화되고 있다.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는 지극히 ‘사무적인 관계(business-like relationship)’일 뿐”이라며 날 선 비판을 이어갔다. 그는 ‘개인적인 감정’을 외교 관계에 끌어들이지 말라는 공화당 존 매케인 상원의원의 비판을 의식한 듯 “양국 지도자 간의 (개인적) 문제가 아니라 양국 간에 존재하는 매우 분명하고 실질적인 도전”이라고 선을 그었다. 또 “네타냐후 총리는 자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방식으로 이스라엘의 이익을 대변하는 것이고 나 역시 똑같다”면서 ‘2국가 해법’만이 이스라엘 안보와 팔레스타인의 열망, 지역 안정을 위한 최상의 길이라고 강조했다. 2국가 해법은 1967년 경계선을 기준으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양국이 각각 국가를 세워 분쟁을 끝내자는 것이다.

데니스 맥도너 백악관 비서실장도 전날 네타냐후 총리의 2국가 해법 철회 발언에 대해 “마치 없었던 일처럼 묵과할 수는 없다”고 비난했다. 이어 “다른 민족에 대한 군사적 지배를 영구적으로 유지할 수는 없으며 이제는 50년 이상 지속돼 온 이스라엘의 점령을 끝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네타냐후 총리의 미 의회 연설을 주도하는 등 그간 네타냐후를 방어해 온 공화당은 즉각 반발했다. 공화당 린지 그레이엄 상원의원(사우스캐롤라이나)은 맥도너 실장의 발언에 대해 “테러 조직 하마스(팔레스타인 무장정파)가 사용하는 수사와 똑같다”며 “제발 말조심 좀 하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이 같은 ‘3각 갈등구도’는 존 베이너 하원의장을 비롯한 공화당 의원들이 오는 31일 오바마 정부가 공들이고 있는 이란 핵협상 시한에 맞춰 이스라엘을 방문, 네타냐후 총리와 이란 핵협상 반대를 위한 공조 방안을 논의하기로 해 더욱 증폭될 전망이다. 뉴욕타임스는 “이스라엘 총선 결과에서 보듯 백악관의 ‘네타냐후 때리기’가 본래의 의도와는 달리 네타냐후 총리에 대한 동정여론 등 반작용을 불러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