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김무성(사진) 대표가 24일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봐야 한다”고 말해 파장이 예상된다. 이번 발언은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지 않는 우리 정부와 미국의 공식 입장과 배치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김 대표는 부산 해양대학교 미디어홀에서 열린 ‘청춘무대 김무성 토크쇼’에서 미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인 사드(THAAD) 배치 문제에 대한 질문을 받고 “전 세계적으로 핵실험을 두세 번 하면 핵보유국으로 인정하게 돼 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답변에 앞서 외교적 파장 등을 인식한 듯 “문제 발언인데…”라고 조심스러워 하면서도 민감한 발언을 쏟아냈다. 그는 “저(低)고도 미사일을 갖고는 핵폭탄을 (방어)할 수 없다”면서 사실상 사드 도입을 주장하는 취지의 발언을 쏟아냈다. 그는 “사드는 고고도 미사일”이라며 “그래서 북한에서 만약 (미사일을) 쏘아 올렸을 때 약 150㎞ 상공에서 요격할 수 있는 방어체계를 갖춰야 한다는 것은 기본상식”이라고 주장했다. 여권 내부에서 사드 배치 문제 공론화를 놓고 논란이 벌어지는 상황에서 김 대표가 사드 배치를 공개적으로 주장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 대표는 또 “현재도 북한에서 우리 남쪽을 향해 핵전쟁을 일으킬 수 있다고 위협 발언을 하는 상황에서 우리에게 제일 중요한 문제는 북핵을 어떻게 방어하느냐는 것”이라며 “정치·외교적으로도 이 문제를 해결해야 되지만 만약의 경우에 대비해 방어할 수 있는 무기체계를 갖추는 게 우리 생존권이 걸린 문제”라고 했다.
그는 사드가 레이더 장치를 갖추고 있다고 설명한 뒤 “레이더를 설치하면 반경이 넓어서 중국까지 서치(탐지)가 가능하다”면서 “그래서 중국이 반대하는 것”이라고도 했다. 이어 “그러나 우리는 안보가 우선”이라며 “그래서 안미경중(安美經中), 안보는 미국의 핵우산 속에 들어가야 되고 경제는 중국과 잘 교류해야 된다”고 덧붙였다.
토크쇼를 마친 뒤 자신의 ‘북한 핵보유국’ 발언에 대해 “국제관례가 핵 실험을 두세 번 하면 핵보유국으로 간주한다”면서 “그런 국제관례에 따라 이야기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또 정부 방침과 배치된다는 지적에 대해선 “(핵보유국으로) 인정이 아니라 간주하자는 것”이라고 한발 물러섰다.
김 대표의 이번 발언으로 당청 갈등이 점화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청와대는 사드 배치 문제와 관련해 미국 정부의 공식 요청이 없었던 만큼 협의와 결정도 없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하면서 신중하게 접근해 왔다. 청와대는 유승민 원내대표 등 새누리당 원내지도부의 공개적인 사드 논의 방침에 대해서도 달갑지 않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김무성 “북한, 핵보유국으로 봐야”… 사드 배치도 공개 지지
입력 2015-03-25 0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