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개혁 시한 1주일 남기고 만났지만… 李고용·韓민노총 위원장 ‘빈손 회동’

입력 2015-03-25 02:45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왼쪽)이 24일 서울 중구 정동 민주노총을 방문해 한상균 위원장과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이 24일 취임 이후 처음으로 민주노총을 방문해 한상균 민주노총 위원장과 대면했다. 그러나 노동시장 구조개선을 위한 노·사·정 대타협을 위한 시한을 1주일 앞둔 시점에서야 이뤄진 이번 만남에서 ‘대화하자’는 이 장관과 ‘노사정위원회 논의부터 중단하라’는 한 위원장의 기존 입장만 재확인했다.

이 장관은 이날 서울 중구 민주노총을 찾아 “오늘 첫 만남이지만 앞으로 장소나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자주 만나서 현안을 상의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면담을 시작했다. 그러나 한 위원장은 “지난달 총파업 방침을 천명하며 3월 말을 시한으로 대통령 면담과 대정부 요구 사항에 대한 답변을 요구했지만 한 달이 지나도록 아무런 입장 표명도 없다”면서 “이 자리를 통해 분명한 항의 의사를 전달할 것”이라며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

공개 모두발언 이후 1시간가량 더 진행된 비공개 면담에서도 두 사람은 기존의 주장만 재확인했다. 한 위원장은 면담이 끝난 뒤 “짧은 시간이었지만 (이 장관의) 철학이 재벌들의 이해와 다르지 않다는 것을 충분히 확인할 수 있었다”면서 “실효성 없고 노동자의 양보만 요구하는 노사정 협의의 중단을 강력하게 요구하고 박근혜 대통령과의 단독 면담을 다시 한 번 요구했다”고 말했다.

비공개 면담에서 TV정책토론 등의 방안도 제시됐지만 민주노총 측이 ‘노사정위 논의 중단’을 전제조건으로 제시해 3월 말 내에 성사될 가능성은 극히 낮다.

이 장관도 민주노총을 떠나면서 기자들과 만나 “첫술에 배부를 수 있느냐”면서 “노동시장 구조개선이 왜 절실한지 등을 놓고 격의 없는 이야기를 나눴다. 현안이 있을 때 파업은 적절치 않으며 대화로 문제를 풀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용부 장관의 민주노총 방문은 2013년 6월 방하남 전 장관 이후 처음이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