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30개 공공기관이 정부가 개발한 직무능력표준(NCS)에 맞춘 새로운 채용 방식으로 3000명을 뽑는다.
다만 공공기관 취업을 준비해 온 취업준비생들의 혼선을 줄이기 위해 올해는 면접과 서류전형에만 반영된다. 필기시험은 기관별로 변경사항을 공고한 이후 1년 뒤부터 적용된다.
정부는 24일 서울지방조달청에서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130개 공공기관과 ‘직무능력중심 채용 MOU 체결식’을 가졌다. 이에 따라 해당 공공기관들은 정부가 NCS 기반 채용모델을 신규로 도입하거나 확대할 계획을 밝혔다. NCS는 산업현장에서 각 직무 수행에 요구되는 지식과 기술, 소양 등을 국가가 산업부문별, 수준별로 체계화해 만든 평가 방식이다.
최 부총리는 이 자리에서 “구직자들이 높은 영어점수, 다양한 자격증 등을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이고 있지만 정작 현장 업무와 연결되지 않는 경우가 많고, 기업 현장에서는 별도의 업무 훈련이 필요하다는 것이 아직도 제기된다”고 지적했다. 최 부총리는 이어 “교육·훈련과 현장 직무와 괴리되는 문제, 불필요한 스펙 쌓기에 따른 낭비를 줄이기 위해 정부가 NCS를 만들고 적용하는 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면서 “올해 130개 공공기관이 NCS 기반으로 3000명을 채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산업인력공단 등 30개 공공기관은 NCS 기반 채용모델을 이미 도입, 상반기 채용부터 서류·면접 전형에 반영할 예정이다. 다만 기존 취업준비생 혼란을 줄이기 위해 필기전형은 올 하반기까지 전형 개편을 공고한 뒤 내년 하반기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한국전력공사, 도로공사 등 100개 공공기관은 올 하반기부터 NCS 기반 서류·면접전형을 진행하며 필기시험은 2017년 상반기부터 본격 시행된다.
정부는 NCS 채용모델에 대한 취업 준비 매뉴얼, 면접 및 문제 샘플 등 자료는 NCS 포털(ncs.go.kr)에 게시하고, 각 학교 및 취업준비기관에 배포하는 한편 4월까지 권역별 NCS 관련 채용설명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
공공기관, 직무능력 중심 올 3000명 뽑는다
입력 2015-03-25 0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