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다지 캐는 쓰레기매립장 서로 군침… 냄새 없고 마을엔 年 10억씩 40년 지원 파격 인센티브

입력 2015-03-25 02:06

충북 청주에서 대표적 혐오시설인 쓰레기매립장 유치를 놓고 두 마을이 경쟁을 해 주목을 끌고 있다. 보통 쓰레기매립장은 혐오시설을 거부하는 지역 이기주의(님비) 때문에 골치를 앓는 시설이지만 오히려 유치경쟁이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청주시는 지역 주민들을 설득하고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제시함으로써 ‘님비’를 ‘핌피’(이익시설을 유치하려는 지역이기주의)로 바꿨다.

시는 청주 제2쓰레기매립장 입지를 정하기 위한 입지 타당성 조사 용역을 실시한다고 24일 밝혔다.

이 용역은 제2매립장 입지 후보지 공개모집에 응한 흥덕구 신전동(270번지 일원)과 청원구 후기리(474번지 일원)를 놓고 최적의 후보지를 가리기 위해 추진하는 것이다.

시는 냄새와 침출수 발생 걱정이 없는 지붕형으로 조성할 제2매립장 입지가 확정되면 환경영향평가, 실시설계 등 절차를 거쳐 2017년 상반기 공사에 착수할 계획이다. 총사업비 670억원을 투입해 건설하는 매립시설은 매립면적 15만㎡, 매립용량 220만㎥ 규모로 하루 153t의 쓰레기를 처리하게 된다. 이 시설이 들어서면 개방형 매립장에서 발생하는 침출수의 95%를 줄일 수 있고 지붕에 설치된 160만㎾ 규모의 태양광 발전시설을 통해 연간 2억6900만원의 에너지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

시는 앞서 3차례에 걸친 입지 후보지 공모가 무위에 그치자 응모 조건을 대폭 수정해 2개 마을의 신청을 이끌었다. 지난해 12월 4차 공모에서 2㎞ 이내 주민 70% 이상 동의와 토지 소유자의 50% 이상 매각 동의로 완화한 게 주효했다. 공모 접수가 끝난 후에도 2개 마을이 “시기를 놓쳐서 공모에 응하지 못했는데 지금도 가능하냐”고 문의하는 등 주민들의 관심이 높았다.

쓰레기매립장 입지가 결정된 마을에는 앞으로 40년 동안 매년 최대 10억원의 주민지원기금이 지원된다. 주민편익시설 건립비 50억원, 주민숙원사업비 50억원도 5년간 균분 지원한다.

하지만 쓰레기매립장 간접 영향권 지역 주민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아 앞으로 지원금 배분 등을 놓고 지역 갈등이 불거질 여지는 남아있다.

시 관계자는 “쓰레기매립장은 더 이상 혐오시설이 아닌 낙후된 지역이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매립장 사용이 종료된 후에는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체육시설 등으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