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전 대표와 박원순 서울시장이 23일 ‘포스코 부실사태 방조 의혹’에 대해 적극 해명했다. 당시 포스코 이사회 의장을 맡았던 안 전 대표는 “경영진의 이사회 보고서는 문제가 없었다”고 주장했고, 당시 사외이사였던 박 시장은 “포스코 사태와 관련이 없다”고 반박했다.
안 전 대표 측 관계자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당시 경영진이 이사회에 제출한 보고서에는 (성진지오텍이) 매우 장래성 있는 기업으로 보고됐던 반면, 주식 인수과정에서의 특혜 등은 보고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포스코 전략사업실이 2010년 3월 이사회에 보고한 자료에는 2009년 1612%였던 성진지오텍의 부채비율은 포스코가 인수할 경우 매년 큰 폭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그러나 포스코가 성진지오텍 전정도 전 회장의 보유지분(440만주)을 다른 주식보다 높은 가격으로 인수한 사실은 아예 보고되지 않았다는 것이 안 전 대표 측 설명이다.
안 전 대표 측은 검찰 수사를 통해 당시 투자자문사들이 매입을 추천한 이유와 전 전 회장 주식 매입 과정에서의 특혜가 이사회에 보고되지 않은 이유 등이 명확히 밝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당시 매각주관사로 활동했던 산업은행이 이와 관련해 2012년 받은 감사원 감사 내용도 공개할 것을 요구했다.
안 전 대표 측은 “개인적인 일이면 사과를 하고 넘어가도 되지만, 사외이사 제도 전반의 문제라 어떻게 입장을 정리할지 고민하고 있다”며 “안 전 대표는 사외이사의 역할이 어디까지인지, 도의적 책임을 어디까지 져야 하는지 고민 중”이라고 전했다.
박 시장 측도 ‘거수기’ 사외이사 의혹에 대해 “사외이사 재직 시절 정준양 회장 선임과 관련한 세 차례 투표에서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다”고 반박했다. 김인철 서울시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박 시장은 자신의 반대에도 정 사장이 CEO로 선출되자 곧바로 포스코 사외이사를 사임했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이어 “박 시장이 사외이사로 활동한 기간은 2004년 3월부터 2009년 2월까지로, 정 회장과 임기가 겹치지도 않는다”고 설명했다.
또 거액의 급여를 받았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박 시장은 사외이사 기간 중 받은 급여 대부분을 시민단체에 기부했다”며 “포스코가 박 시장의 반대 의사에도 결국 ‘사외이사 스톡옵션’ 제도를 도입하자 박 시장은 스톡옵션을 거절했다”고 선을 그었다.
앞서 새누리당 이노근 의원은 안 전 대표와 박 시장에게 포스코 부실사태와 관련해 해명하라고 요구했다. 이 의원은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새누리당 초·재선 의원 모임 ‘아침소리’에서 “안 전 대표가 찬성표를 던져 감시자 역할을 소홀히 했다는 비판을 피해갈 수 없다”며 “만일 안 전 대표에게 고의 등 불법행위가 있었다면 상법상 특별배임죄와 민사상 손해배상 문제에 대한 의혹이 있어 보인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박 시장에 대해서도 “박 시장이 이끌던 아름다운재단이 포스코로부터 상당액의 기부금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며 “만일 박 시장이 포스코의 기부에 영향력을 행사했다면 상법상 특별배임죄 의혹과 민사상 손해배상 책임 의혹이 있어 보인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安 “경영진 이사회 보고서 문제 없었다”-朴 “정준양 회장 선임 반대의사 밝혔다”
입력 2015-03-24 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