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경남기업의 자금흐름 전반을 분석하고 나섰다. 경남기업이 4년여 동안 정부융자금의 감면을 신청하지 않은 배경도 조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경남기업의 주채권은행인 신한은행으로부터 경남기업의 거래내역 자료 일체를 확보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부장검사 임관혁)는 23일 경남기업이 정부로부터 받은 융자금을 자금난 해소에 활용했을 가능성을 포함해 자금 흐름을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검찰 관계자는 “지난 주말부터 경남기업의 재무구조를 살피면서 해외 자원개발 사업의 자금 집행 내역을 분석하고 있다”고 말했다. 검찰은 성공불융자금과 일반융자금 신청이 기업 재무구조 개선과 관련돼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신한은행을 비롯해 한국신용평가, 한국기업평가 등 신용평가회사로부터도 자료를 제출받았다.
검찰은 경남기업 관계자를 소환해 한국광물자원공사로부터 ‘암바토비 프로젝트’ 명목으로 빌린 일반융자금 130억원, 한국석유공사로부터 ‘캄차카 광구 탐사’ 목적으로 대출받은 성공불융자금 330억원의 집행 내역을 조사했다. 이 가운데 일부는 해외 자원개발 목적에 부합한 것으로 소명됐다. 확인작업을 완전하게 마무리하지는 못한 상황이다. 검찰은 “대출받은 것과 다른 목적으로 사용했거나 다른 자금과 구분해 회계처리하지 않았다면 관련 규정에 어긋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경남기업이 해외 자원개발 사업에서 실패한 뒤 통상적 절차대로 융자 감면신청을 하지 않은 점도 검찰의 수사 대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경남기업이 지원받은 성공불융자금 가운데 100억원대가 용도와 달리 쓰였다고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
檢, 융자금 탕감 신청 안한 경남기업 비자금 의혹과 연관성 캔다
입력 2015-03-24 0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