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경남기업 주채권은행 신한은행 압수수색… 워크아웃 관련 은행권 특혜·성완종 회장 외압 의혹 수사

입력 2015-03-23 02:07
경남기업의 해외 자원개발 정부 지원금 유용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부장검사 임관혁)가 지난 20일 경남기업 주채권은행인 신한은행을 압수수색한 사실이 확인됐다. 검찰은 법원에서 발부받은 영장을 제시하고 신한은행으로부터 경남기업에 대한 자금지원 등 금융거래 내역 일체를 받아 분석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 관계자는 “지난 20일 신한은행에서 자료를 제출받은 사실이 있다”고 22일 밝혔다.

검찰의 신한은행 압수수색은 ‘단순한 계좌추적’을 넘어서는 것으로 보인다. 경남기업의 기업 재무구조 개선작업(워크아웃)을 둘러싼 은행권의 특혜 및 경남기업 대주주 성완종(64) 회장의 외압 의혹 등을 확인하는 차원으로 해석된다. 신한은행은 2009년 5월과 지난해 2월 경남기업과 경영 정상화 계획 이행 약정을 체결하고 주채권은행으로서 자금을 지원해 왔다.

경남기업은 다른 건설사들이 법정관리 절차를 밟은 것과 달리 2차 워크아웃을 졸업한 지 2년5개월 만인 2013년 10월 신한은행으로부터 3차 워크아웃 승인을 따냈다. 건설업계와 금융권에서 이례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성 회장은 당시 은행권을 감독하는 금융 당국을 피감기관으로 하는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의원이었다. 성 회장은 정무위원이던 2013년 4월 30일 국회 정무위 예산결산심사소위에서 “내가 건설업을 쭉 하다 왔는데 시장이 아주 굉장히 힘들다. 금융위원회에서 이런 안(건설사 유동화회사보증)을 냈는데 도와주면 좋을 것 같다. 시장은 이것 안 해준다고 난리가 났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워크아웃이 개시된 뒤 이뤄진 신용평가 업계의 경남기업 평가를 봐도 은행권의 자금 지원이 특혜 아니었느냐는 의혹이 제기된다. 한국기업평가에 따르면 경남기업의 회사채 신용등급은 2009년 5월 ‘BBB-’에서 ‘CCC’로, 기업어음(CP) 등급은 2013년 10월 ‘A3-’에서 ‘C’로 각각 하락했다. 회사채 CCC등급은 “채무불이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단기 사채로 분류되는 기업어음이 C등급이라는 것은 시장에서 “단기적인 채무상환 능력이 의문시된다”는 신호로 받아들여진다.

검찰의 신한은행 압수수색은 주채권은행과 경영진의 계좌 흐름을 분석, 정부 지원금 등 수상한 자금의 용처를 확인하려는 의도라는 관측도 있다. 이미 경남기업은 해외 자원개발을 명목으로 460억원의 지원금을 받아 워크아웃 유동성 확보나 대주주 재산 빼돌리기에 썼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상태다.

이경원 정현수 문동성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