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고성윤] 자생적 테러 확산 경계를

입력 2015-03-21 02:20

국경을 넘는 초국가적 테러리즘의 확산으로 지구촌이 위협받고 있다. 국제 테러조직과 연대하는 자생적 테러집단도 세를 키우고 있다. 그 중심에 수니파 극단세력인 ‘이슬람국가(IS)’가 있다. 이 세력은 중동, 유럽에 이어 동아시아로 동진 중이다. 외신에 따르면 현재 IS에 가담한 조직원은 90여개국 출신 2만명에 이른다고 한다. 특히 IS는 자금력을 바탕으로 인터넷은 물론 페이스북과 트위터 등 SNS를 통해 청소년을 유혹하고 있으며, 유급 용병들까지 모집하고 있다. 외국어 전문 통역인을 활용하고 영문 PDF 홍보물을 게재할 정도로 IS는 다른 테러조직과 진화의 정도가 전혀 다른 조직이다.

예외 없이 우리 청소년들도 첨단 미디어 기술과 자금력을 갖춘 IS 공세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다. 최근 터키에서 실종된 우리 학생이 IS에 가입해 훈련 중인 것으로 확인되어 상황이 가볍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상황이 이렇듯 위중한데도 서울시내 한 중학교 교사가 청소년의 IS 가입을 부추기듯 한 글을 전교조 홈페이지에 올려 사회적 파장을 일으킨 바 있다.

테러(terror)란 폭력으로 사회적 공포를 유발하고 이를 통해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려는 일체의 반문명적 행위를 일컫는다. 그런데 정치적 목적을 노려 자행되는 테러는 무차별적으로 공격함으로써 무고한 인명의 피해가 큰 반면 이를 효율적으로 예방하고 차단하는 수단은 마땅치 않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사실상 국제사회가 테러와의 전쟁을 선포하고 협력하고 있으나 그 효과는 제한적이다.

그도 그럴 것이 테러집단의 지휘체계가 일원화되어 있지 않을 뿐더러 뿌리가 잘 뽑히지 않는 잡초처럼 조직이 뻗어나가기 때문이다. 사정이 이러하니 초국가적 테러가 더욱 기승을 부리고 있다. 특히 우리가 주목할 점은 자생적 테러리즘의 확산이다. 최근 프랑스 ‘샤를리 엡도’ 테러범들 역시 함께 교육받고 자란 이웃이자 시민권자였다.

우리의 경우 출국하는 여행객이 1000만명 시대를 넘어선 지 오래이며, 입국하는 외국 여행객 또한 1000만명을 훌쩍 넘어섰다. 불법체류자가 20만명을 넘어섰고 국적 취득 외국인도 점증하고 있다. 그만큼 문화의 충돌 가능성도 커졌다. 더욱이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부정하고 김정은 우상화에 동참하는 세력들이 좀처럼 줄지 않고 버젓이 활동하고 있다. 지난 5일, 한 조찬 포럼에서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에게 야만적인 테러를 저지른 범인 역시 이 땅에서 태어나 자란 종북 성향의 대한민국 국민이었다. 섬뜩한 것은 이들이 마음만 먹으면 국제 테러조직과 연계할 수도 있고, 인터넷을 통해 총기와 급조폭발물(IED) 등의 설계도는 물론 제조기술 획득도 가능하다는 점이다. 이를 뒷받침할 3D 프린터 기술 또한 급속도로 실용화되고 있다.

따라서 대테러법의 조속한 제정과 더불어 국제 공조체계 구축에 더 많은 노력을 쏟아야 한다. 특히 테러대책회의 및 테러정보통합센터의 기능상 미흡함이 거론되는 만큼 보다 발전적인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도 대테러법 정비가 시급함을 알 수 있다. 더불어 문명사회의 공적인 테러리즘에 굴복하지 않는 시민의식 함양과 함께 예방책 강화도 뒤따라야 한다. 청소년들이 테러조직의 유혹에 빠지지 않도록 현장교육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고성윤 전 국방연구원 현안위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