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도 ‘성공불융자’ 135억 받아… 회수 난망

입력 2015-03-20 02:33

국내외 비자금 조성 의혹으로 검찰 수사를 받고 있는 포스코가 2006년 말부터 해외 자원개발 사업에 참여하며 한국석유공사를 통해 135억원대 ‘성공불융자’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사업이 실패하면 원리금이 감면되는 융자인데 포스코가 참여한 자원개발 사업은 대부분 실패로 판명된 상태다. 과거 정권과의 유착 의혹이 제기돼 온 상황인 만큼 무리한 자원개발에 동참하고 성공불융자 혜택까지 받은 사실은 논란을 낳을 전망이다.

1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현재 포스코는 석유공사를 통해 성공불융자로 135억3300만원 상당의 외화를 장기 차입한 상태다. 포스코는 2007년 아랄해 광구 가스전 탐사와 관련해 9억5700만원을 빌렸고, 이후 우즈베키스탄 나망간-추스트 광구 가스전, 서페르가나-취나바드 광구 가스전 탐사에 참여하며 계속 성공불융자금을 늘려 왔다. 정부 자금을 내준 기관은 경남기업의 성공불융자 문제로 18일 검찰 압수수색을 받은 석유공사다.

포스코가 참여한 3가지 사업은 이렇다할 성과를 거두지 못했고, 일부는 실패로 끝난 상태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새누리당 이노근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우즈베키스탄 아랄해 가스전 사업은 탐사 실패로 철수했고 1600만 달러의 손실을 입었다. 새정치민주연합 ‘MB정부 국부유출 자원외교 진상조사위원회’는 “나망간-추스트 광구 가스전 탐사도 실패로 돌아가 지난해 성과 없이 철수했고 총 487억원의 손실이 예상된다”고 주장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정상외교 성과로 크게 홍보됐던 서페르가나-취나바드 사업도 “물리탐구만 하느라 시추 한 번 못한 채 107억원을 탕진했다”는 평가를 받아 왔다. 석유공사 투자리스크위원회는 지난해 7월 탐사사업팀 철수 추진 방안을 검토하기도 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