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司正 전방위 확산] 說 說 說… 포스코, 투서·제보에 골머리

입력 2015-03-20 02:55

비자금 조성 의혹 등으로 검찰 수사를 받고 있는 포스코가 각종 투서와 제보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주로 포스코 퇴직자와 징계 대상자, 납품에서 탈락한 협력업체, 정치권 등이 주요 진원지로 지목되고 있다. 검찰에도 몇 년 전부터 이들이 제보한 각종 투서 상당 분량이 축적돼 있고, 이번 수사에 활용되고 있다는 후문이다. 최근 알려진 포스코 전직 고위 간부의 해외 접대 사건, 전직 고위 간부의 자녀 호화 결혼식 사건, 주요 공법 활용한 비자금 조성 의혹도 이들의 투서를 통해 알려지기 시작했다.

납품업체들의 투서와 제보도 꽤 심각한 수준이라고 한다. 포스코에 설비, 자재를 납품하는 공급사만 거래기준으로 1500여개에 달한다. 여기에 2, 3차 협력업체까지 더하면 그 수는 훨씬 늘어나게 된다. 포스코 협력업체로 지정되면 안정적인 사업이 가능하다. 때문에 협력업체 선정 과정에서 정권 실세들이 압력을 행사하는 경우가 잦고, 여기에서 제외된 업체들이 각종 투서를 곳곳에 제보하는 사태가 되풀이되고 있다는 것이다. 2009년 정준양 회장 취임 이후 여러 협력업체들이 상당부분 교체됐고, 이 과정에서 MB(이명박) 정권 실세들의 입김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고 한다. 검찰이 포스코 협력업체 선정 과정의 외압과 금품거래를 집중적으로 수사할 수 있는 것도 이러한 제보들이 상당한 신빙성을 지니고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특히 포스코 수장이 교체되면 새로운 경영진은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납품권을 따낸 협력업체들을 정리할 수밖에 없는데, 이 과정에서 밀려난 업체들의 투서가 늘어나는 경향도 있다. 이구택 전 회장 임기 말인 2008년에도 기승을 부렸다고 한다. 이 전 회장의 국세청 로비설, 납품 비리 의혹 등도 검찰 안팎에서 제기됐고, 결국 실체가 제대로 규명되지 않은 채 자진사퇴로 결론나기도 했다. 포스코 관계자는 19일 “몇 년 전부터 계속 제기됐던 문제들이 다시 불거져 새로운 의혹으로 터져 나오기도 한다”고 하소연했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