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9 재보선-새정치연합 야권 표심 잡기 전략] ‘경제실정 심판론’ 병행… 포지티브 고수?

입력 2015-03-20 02:28
문재인 대표(왼쪽 두 번째)와 새정치민주연합 4·29 재보선 후보자들이 19일 국회 대표실에서 열린 공천장 수여식에서 이번 재보선의 성격을 규정한 내용을 담은 손피켓을 들고 있다. 왼쪽부터 정환석 후보(경기 성남중원), 문 대표, 정태호 후보(서울 관악을), 조영택 후보(광주 서을). 연합뉴스

새정치민주연합은 19일 4·29 재보선 후보자들에게 공천장을 수여하고, 본격적인 선거 모드에 들어갔다. 특히 박근혜정부의 ‘경제실정 심판론’을 제기하며 여론몰이에 나섰다. 앞서 발표한 ‘정권 심판론에 기대지 않는 포지티브 선거’라는 큰 틀의 선거 전략과 경제실정 심판론을 어떻게 조화시키느냐가 관전 포인트다.

문재인 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공천장 수여식에서 “이번 재보선은 국민의 지갑을 지키는 선거”라며 “국민 지갑을 지키고 키우는 유능한 경제정당으로 국민께 희망을 드리겠다”고 밝혔다. 이어 “부자감세를 그대로 두고 서민·중산층을 상대로 증세하는 정부에 맞서 국민 지갑을 지키는 일대 격돌”이라며 “정치판을 바꾸고 무능한 정권을 심판하고 정권교체를 실현하는 데 국민들께서 힘을 보태 달라”고 호소했다. 공천장을 받은 정태호 정환석 조영택 후보는 일제히 경제실정과 심판론을 거론했다.

양승조 사무총장 역시 “지난 2년간 민생을 파탄낸 정권의 실정과 무능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보궐선거에서 전·월세난, 연말정산 파동, 가계부채 등 정부의 경제실정을 전면에 내세우겠다는 것이다. 새정치연합이 경제실정 심판론을 꺼내든 것은 일방적인 포지티브 선거 전략을 고수할 수 없는 현실, 새누리당과의 일대일 구도짜기 필요성 등이 감안된 결과로 풀이된다.

새정치연합은 지난 15일 정권 심판론 대신 유능한 경제정당, 대안 정당을 강조하는 포지티브 선거를 치르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당내에서 “보궐선거에서 야당이 정권 심판론을 버리고 어떻게 선거를 치르느냐”는 지적이 제기됐다. 또 “1승도 어렵다”는 엄살 전략에 대해 보다 당당한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비판도 나온다. 정의당, 옛 통합진보당, 국민모임 등 야권이 분열한 상황에서 야당 표를 묶어낼 장치도 필요했다. 때문에 경제실정 심판론이 일종의 보완카드로 등장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대해 진성준 전략기획위원장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경제정책 실패에 대한 평가를 안 할 수는 없다”면서 “큰 틀에서 포지티브 정당, 대안 정당으로 가자는 데에는 이견이 없다”고 말했다.

이번 보궐선거가 내년 4월 총선의 전초전임을 감안할 때 새정치연합은 포지티브 선거전략, 경제실정 심판론 등을 다양하게 적용하고 시험해볼 것으로 분석된다. 한 고위 당직자는 “선거 현장에서 정권 심판론과 경제 이슈가 반반씩만 조화를 이뤄도 좋을 것”이라며 “총선을 정권 심판론으로 치를 수 없으니 미리미리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