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단, 추가 자금지원 난색 경남기업 법정관리 가능성

입력 2015-03-19 03:22
경남기업에 대한 추가 자금 지원에 채권단이 난색을 표함에 따라 법정 관리에 들어갈 가능성이 커졌다.

주채권은행인 신한은행은 18일 서울 세종대로 신한은행 본점에서 수출입은행 산업은행 국민은행 농협은행 무역보험공사 서울보증보험 등 주요 채권기관과 운영위원회를 열어 경남기업에 대한 추가 자금 지원 여부 등 구체적인 회생방안을 논의했다.

그러나 채권기관들은 20일 전체 채권단 회의로 결정을 미뤘다. 경남기업에 대한 추가 자금 지원에는 난색을 표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참석자는 “추가 지원에 대해 부정적인 기류가 팽배하다”면서 “경남기업에 돈을 빌려준 채권기관들의 전체 협의회를 열어 최종적인 결론을 내리겠지만, 현재로서는 추가 지원 가능성이 상당히 낮다”고 전했다.

경남기업에 대한 기관별 여신은 수출입은행(3017억원)이 가장 많고 서울보증보험(2035억원) 신한은행(1896억원) 무역보험공사(1354억원) 국민은행(599억원) 산업은행(598억원) 농협은행(414억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경남기업의 채권기관은 모두 45곳에 달하며 현재까지 2조2000억원에 달하는 자금이 투입됐다.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빠진 경남기업은 이날 검찰의 압수수색까지 받는 등 악재가 겹친 상황이다. 경남기업은 이미 두 차례 워크아웃을 경험했으며 2013년 10월부터 세 번째 워크아웃을 밟고 있다. 경남기업은 이달 말까지 자본잠식에서 벗어나지 못하면 거래소로부터 상장 폐지된다.

경남기업이 채권단으로부터 추가 지원을 받으려면 채권단 회의에 정식으로 부의가 되고 나서 의결권 기준으로 채권단의 75% 이상 동의를 얻어야 한다. 지원 금액은 실사를 거쳐 산정되며, 또다시 채권단 75% 이상의 동의를 받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선정수 기자 js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