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기업 압수수색 ‘자원외교’ 수사 시동

입력 2015-03-19 03:51 수정 2015-03-19 09:32
검찰이 이명박정부의 해외 자원개발 의혹 수사에 본격 착수했다. 첫 대상은 한국석유공사와 경남기업 등이 추진한 러시아 캄차카 석유광구탐사 비리의혹이다. 이로써 지난 12일 이완구 국무총리의 ‘부정부패 척결’ 담화 6일 만에 3대 부패(방위사업·자원외교·대기업비자금) 수사가 일제히 시작됐다.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부장검사 임관혁)는 18일 서울 동대문구 경남기업 본사와 울산의 석유공사를 동시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19대 국회의원이자 ‘MB맨’으로 분류되는 성완종(64) 경남기업 회장 자택도 압수수색한 것으로 전해졌다. 압수수색은 자원개발 관련 내부 보고서와 계약서, 회계장부 등에 집중됐다.

검찰은 2005∼2010년 경남기업과 석유공사 등이 한국컨소시엄을 꾸려 참여한 러시아 캄차카반도 육상 석유광구 탐사사업을 들여다보고 있다. 특히 경남기업이 ‘성공불융자’(정부가 자원사업 등에 돈을 빌려주되 실패하면 융자금 전액을 감면해 주는 제도)를 악용해 수백억원을 횡령했을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성공불융자로 확보한 자금을 사업비 외 용도로 쓰는 등 부당이익을 챙겼는지 확인하려 한다”고 말했다. 석유공사 측이 공모했거나 묵인했는지도 따질 계획이다.

또 검찰은 한국컨소시엄이 이 사업에 총 3000억원가량을 투자했지만 회수액 ‘0원’(지난해 6월 기준)을 기록하고 철수한 점에 주목하고, 계약 체결과정과 진행 경위 등도 정밀 분석하고 있다.

이번 수사는 경남기업의 다른 자원개발 사업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크다. 이 회사는 석유공사가 추진한 아제르바이잔과 카자흐스탄 유전 개발, 미국 멕시코만 심해 가스탐사 사업 등에 참여했다.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 니켈광산 개발 과정에서 한국광물자원공사가 경남기업의 사업지분을 비싼 값에 샀다는 의혹도 있다. 경남기업은 자본 완전잠식에 빠져 상장폐지 위기에 몰려 있다.



지호일 문동성 기자 blue51@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