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기업은 18일 검찰 압수수색으로 ‘겹악재’를 맞았다. 1999년 이후 오래도록 자금난에 시달린 경남기업은 현재 3차 워크아웃(기업 재무구조 개선작업) 도중 자본 전액잠식, 상장폐지 위기에 놓인 상태다. 금융권에서는 경남기업이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에 들어갈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도 흘러나온다.
지난 정부의 자원외교 관련 비리를 파헤치는 검찰의 수사선상에는 결국 ‘MB맨’으로 분류되는 경남기업 대주주이자 전 새누리당 의원인 성완종(64) 회장이 올라 있다는 관측이 크다. 경남기업의 해외 자원개발 사업 참여는 자금난에 비해 활발한 편이다. 러시아 캄차카와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 사업 이외에도 아제르바이잔 석유 탐사, 미국 멕시코만 가스 탐사, 우즈베키스탄 지파드노 금 탐사, 카자흐스탄 카르포브스키 가스 탐사 등에 이름을 내밀었다. 지난 정부가 자원외교의 첫 성과로 홍보했던 이라크 쿠르드 지역 유전개발-사회간접자본(SOC) 연계 사업에도 관여했다.
검찰은 성 회장의 ‘성공불융자’ 편취 의혹 및 정·관계 로비 여부를 살피기 위해 이미 그를 출국금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남기업의 부실이 본격적으로 악화될 무렵 성 회장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산업은행 등을 피감기관으로 두는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현역 의원이었다. 그는 지난해 6월 공직선거법위반 혐의로 벌금 500만원의 대법원 확정판결을 받아 의원직을 상실했다.
MB정부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도 활동했던 성 회장은 경남기업의 구조조정을 두고 금융 당국에 압력을 행사한다는 뒷말에 시달려 왔다. 2013년 경남기업의 3차 워크아웃 돌입 과정이 이런 의혹의 대표적 사례다. 경남기업은 2차 워크아웃을 졸업한 지 2년여 만에 이례적으로 3차 워크아웃을 승인받았다. 당시 대부분의 부실 건설사들은 워크아웃 기회를 다시 잡지 못하고 법정관리에 들어갔었다.
성 회장은 ‘암바토비 프로젝트’와 관련해 김신종(65) 전 한국광물자원공사 사장에게 지분 매각을 청탁했다는 의혹도 받았다. 성 회장과 김 전 사장은 대통령직인수위에서 함께 활동했다. 국민일보는 성 회장에게 전화통화를 시도했지만 연락이 닿지 않았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
[관련기사 보기]
자금난에 압수수색까지… 경남기업 ‘겹악재’ 성완종 회장 수사선상에
입력 2015-03-19 03:06 수정 2015-03-19 09: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