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18일 박근혜 대통령과의 전날 청와대 회동에 대해 “경제 현실에 대한 진단과 처방에서 여전히 입장차가 크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또 청와대 경제수석실이 자신의 회동 발언에 대한 반박 자료를 낸 것에 대해서는 “경제 현실을 너무 모른다”며 불쾌감을 드러냈다.
당 지도부 내에서는 아쉬움이 크지만 야당 지도자로서 국민이 실제 겪는 고통을 박 대통령에게 가감 없이 전달했고, 구체적인 정책대안도 잘 제시해 성과가 있었다는 평가가 나왔다.
문 대표는 창원 한국산업단지공단에서 열린 현장 최고위원회의에서 “대기업 법인세 정상화, 전·월세, 가계부채 대책 등에서 정부는 문제의식을 갖지 못하고 있거나 아예 대책이 없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도 “국민께 작은 선물도 마련할 수 있었다”며 최저임금 인상 공감과 연말정산 후속조치, 의료영리화 저지 등을 거론했다.
특히 문 대표는 경남 창원 반송초등학교에서 급식봉사 활동 후 기자들과 만나 “국민들은 살기 어렵다고 하소연하는데 청와대가 통계자료만 내놓으며 경제가 잘되고 있다고 우긴다면, 국민 목소리에 아예 귀를 닫는 것”이라며 “불통이 아쉽다”고 비판했다.
김영록 수석대변인도 “경제치적 자료를 만들어낸 부분은 경제가 어렵다는 것을 아직도 청와대가 체감 못하고 있는 것”이라고 질타했다.
민병두 민주정책연구원장은 “소득주도 성장을 이야기하면서 ‘문재인 경제학이 있다’ ‘야당이 분배만 이야기하는 게 아니라 성장도 이야기한다’는 사실을 각인시킨 것이 가장 큰 의미”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구체적인 경제 해법을 놓고서는 박 대통령과 뚜렷한 시각차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당내에서는 “지속적으로 더 싸워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새정치연합은 인사혁신처가 공무원연금 개혁 정부안을 제출하지 않기로 하고, 서비스발전기본법 처리 합의 내용에 대해 여당 내에서 다른 소리가 나오자 “하루 만에 합의를 뒤집느냐”고 반발했다.
김 수석대변인은 기자간담회를 열고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회동에서 분명 (연금개혁) 정부안을 내겠다고 얘기했다”며 “김 대표가 이야기한 것을 어떻게 일개 부처가 거부하느냐”고 규탄했다.
또 서비스발전기본법과 관련해서는 “김 대표가 분명히 ‘보건·의료 빼고 4월에 하자’고 얘기했다”면서 “여야 지도자와 대통령이 정리한 것을 여당이 자중지란으로 거부하는 것은 정치도의상 있을 수 없다”고 성토했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
[靑 3자회동 이후] 野 “靑, 경제 어려운데 아직 체감 못해 실망”… 靑 이례적 반박에 불쾌
입력 2015-03-19 0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