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 문제를 둘러싼 우리 정부와 중국의 충돌이 오는 21일 서울에서 개최되는 한·중·일 장관급회의에서 최대 고비를 맞을 전망이다. ‘배치 반대’와 ‘독자 결정’ 목소리를 냈던 양국의 외교수장이 만나는 만큼 ‘사드 의제’가 어떤 식으로든 언급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가장 큰 관심사는 본회의에 앞서 열리는 한·중 양자회담에서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이 어떤 발언을 할지다. 차관보급인 류젠차오(劉建超) 외교부 부장조리가 직접적으로 “중국의 우려와 관심을 중요시해 달라”고 압박했던 만큼 왕 부장조리의 발언수위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적어도 17일 나온 중국 외교부 대변인의 정례브리핑 기조 정도는 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훙레이(洪磊) 대변인은 “한 국가가 자신의 안전을 도모하려면 반드시 다른 국가의 안전에 대한 우려와 지역의 평화 안정도 고려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우리 정부 내에선 “아직 배치가 결정되지도 않은 사안에 중국이 지속적으로 압박해오는 것은 과도하다”는 인식이 팽배하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도 전날 기자간담회에서 “사드는 한·미 간 공식 협의조차 이뤄지지 않은 이론적인 것”이라며 “현재 아무 상황 변화가 없으며 우리 국익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주도적으로 결정해 나갈 생각”이라고 했다. 이런 맥락에 윤 장관은 왕 부장이 이 사안을 거론할 경우 우리 정부의 기본 원칙을 설명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 소식통은 18일 “중국이 문제를 제기하면 우리도 필요충분하게 설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3국 외교장관은 이번 회의에서 2년 넘게 열리지 않고 있는 한·중·일 정상회의 재개 문제에 대한 의견도 교환할 것으로 추측된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
[관련기사 보기]
[한·미·중 사드 갈등] 한·중 사드 충돌 최대고비… 21일 한·중·일 장관급회의
입력 2015-03-19 02:47 수정 2015-03-19 09: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