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포스코건설의 베트남 현지 비자금 조성에 가담한 혐의로 하도급업체를 전격 압수수색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검사 조상준)는 17일 흥우산업 부산 본사와 충남 아산의 계열사 등 3곳에 수사팀을 보내 회계 장부와 내부보고서 등을 확보했다. 검찰은 압수수색영장에 포스코건설 업무상 횡령 혐의의 공범으로 적었다. 검찰 관계자는 “흥우산업은 포스코건설이 베트남에서 부외자금을 조성하는 데 기여한 곳”이라고 말했다. 흥우산업은 2009년 7월 흥우비나, 2010년 1월 용하비나라는 법인을 설립해 포스코건설이 수주한 하이퐁 지역 고속도로 공사 등에 자재를 납품했다.
검찰은 포스코건설이 2009∼2012년 베트남 고속도로 공사 과정에서 흥우산업 베트남법인에 지급하는 대금을 부풀려 40억원대 비자금을 만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런 사실은 지난해 포스코건설 자체 감사에서도 드러났다. 동남아사업단 단장을 맡았던 박모 상무는 당시 “비자금을 만들어 현지 발주처에 현찰로 줬다. 전체 리베이트로 얼마를 전달했는지는 기억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감사실은 고소·고발 조치를 건의했지만 경영진은 내부 징계로 사건을 마무리했다.
검찰은 비자금이 실제 발주처에 전달됐는지, 국내로 유입돼 내부 상납이나 로비자금으로 쓰였는지 등을 확인하고 있다. 흥우산업이 포스코건설과 함께 항만, 아파트, 도로 등 다수의 공사를 진행했다는 점에서 국내 비자금 조성에 관여했는지도 살펴볼 방침이다. 이에 대해 흥우산업은 “흥우·용하비나의 출자자일 뿐이며 포스코건설 비자금 조성과는 직접 관련이 없다”는 자료를 냈다.
검찰은 16일까지 포스코건설 전직 베트남 담당 임원 2명 및 감사실 실장과 부장을 불러 비자금 조성 경위, 감사 결과 등을 조사했다. 조만간 의혹의 핵심으로 꼽히는 정동화(64) 전 포스코건설 부회장을 소환조사할 계획이다. 100억원대에 이르는 베트남 비자금 조성은 정 전 부회장이 포스코건설 대표로 재직하던 시절에 이뤄졌다. 그는 정준양(67) 전 포스코 회장과 이명박정부 실세로 통했던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 간의 연결고리 역할을 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지호일 정현수 기자
blue51@kmib.co.kr
‘포스코 비자금’ 관계사 등 3곳 압수수색
입력 2015-03-18 0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