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과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는 17일 청와대에서 만나 3자 회동을 수시로 갖기로 합의했다. 시급한 과제인 경제 문제에 있어서 총론엔 인식을 같이하면서도 각론에서 이견을 보여 좋은 소식을 기다렸던 국민들의 기대에 다소 미흡했다는 지적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정을 책임진 대통령과 그 대척점에 있는 제1야당 대표가 소통의 물꼬를 튼 것은 의미가 작지 않다.
첫술에 배부를 수는 없다. 지난 대선에서 맞붙었던 두 사람이 국정운영의 경쟁자이자 동반자로 필요시 다시 만나기로 한 것은 어제의 만남이 사진찍기용에 그치지 않았다는 방증이다. 회동에서 박 대통령은 정부의 경제정책을 신랄하게 비판한 문 대표의 얘기를 경청했고, 문 대표는 중동 4개국 순방 결과를 설명하며 야당의 협력을 요청한 박 대통령에게 적극적인 협력 의사를 밝혔다. 건강한 여야청(與野靑) 관계는 같은 것은 추구하되 다른 것은 남겨두는 이 같은 구동존이(求同存異)의 자세에서 나온다.
3자 회동 정례화를 제외하고 이번 회동에서 합의된 사안은 공무원연금 개혁이 필요하고 최저임금이 인상돼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는 것 등이다. 그나마 구체적인 실천방안에 있어서는 목소리가 달랐다. 정책과 이념, 노선의 차이가 분명한 박 대통령과 문 대표가 모든 현안에 한목소리를 낸다면 그게 오히려 이상하다. 분명한 건 자기가 하고 싶은 말만 해서는 절대 합의점을 찾을 수 없다는 점이다. 내 의견이 존중받으려면 상대 의견도 존중하는 열린 마음이 청와대와 여야 모두 필요하다.
지금 무엇 하나 녹록한 것이 없다. 경제 활성화 문제도 여와 야, 정부와 기업, 노와 사의 주장이 다르다. 게다가 주한미군의 사드 배치와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가입 문제 등 미국과 중국의 틈바구니에 끼어 있는 외교 문제도 골칫거리다. 이런 때일수록 상대 의견에 귀를 기울여야 돌파구를 찾을 수 있다. 정부도 최저임금 인상을 추진하고 있는 만큼 문 대표도 야당이 주장하는 ‘소득주도성장’ 경제가 공감대를 얻으려면 최저임금 인상에 반발하는 대기업을 설득하는 데 주도적으로 나서야 옳다. 박 대통령 역시 공공 노동 금융 교육의 4대 구조개혁에 성공하려면 야당의 협조가 필수적이다. 둘을 얻기 위해 때론 하나를 포기할 줄 아는 지혜가 요구된다.
국정의 원활한 운영을 위한 소통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려면 신뢰가 밑바탕이 돼야 한다. 합의사항은 어떤 일이 있더라도 지켜져야 하고, 이견을 노출한 사안에 대해서도 최대공약수를 찾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해서는 안 된다. 얼굴을 맞대는 것보다 나은 소통 방법은 없다. 필요할 때마다 만나야 해답이 보인다.
[사설] 청와대 3자 회동, 소통정치 단초 확인한 건 성과
입력 2015-03-18 0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