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인 사드(THAAD)의 국내 배치 문제가 공론화되면서 여권 내부가 시끄럽다. 새누리당 내부에선 배치 찬반 여부부터 공론화 자체에 대한 문제제기까지 다양한 이견이 쏟아지고 있다. ‘투톱’인 김무성 대표와 유승민 원내대표 사이에도 미묘한 의견차가 나타났다.
김 대표는 17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통일경제교실’ 참석 후 기자들과 만나 사드 배치 논란과 관련해 “외교와 국방이 다 관련된 예민한 부분은 정부의 몫으로 당에서 토론해 결정할 문제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다음 달 1일 의원총회에서 사드 배치 문제를 다루는 것에 대해서도 “일반 의원들은 잘 모르기 때문에 의총을 통해 브레인스토밍(아이디어를 위한 자유토론) 기회를 갖자는 것”이라고 했다. 유 원내대표의 사드지지 입장은 “의원 개인의 주장”이라고 언급했다. 김 대표는 사드 배치 문제가 외교적 문제로 비화되고 있는 것에 대해서도 “건드리면 커진다. (정부에) 맡겨 놔야 한다”고 했다.
반면 유 원내대표는 오전 원내대책회의 후 기자들을 만나 정책의총에서 사드 배치 문제를 논의하겠다고 거듭 밝혔다. 그는 “결정은 정부에서 하는 것”이라면서도 “의총에서 의원들의 의견이 수렴되면 이를 정부나 청와대에 건의드리겠다”고 말했다.
원내대표단은 중국에 대한 불편한 심기까지 드러내며 강공 드라이브를 걸었다. 원유철 정책위의장은 “사드 배치와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가입 문제는 전적으로 우리가 국가의 안보나 국익을 중심으로 판단할 문제”라고 말했다.
조해진 원내수석부대표는 “중국이 북한과의 관계를 이용해 (북한의) 핵과 미사일에 대한 확실한 억제를 해주든가, 아니면 우리가 자위적 수단을 강구하는 데 대해 부당한 간섭이나 압박을 하지 않든가 둘 중 하나는 해줘야 맞지 않느냐”며 “우리의 자구행위에 대해 제동을 거는 모습은 좋은 이웃의 모습이 아니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부가 모든 것을 잘 파악하고 있다면 정부만 믿고 힘만 실어주면 되겠지만 지금 상황이 그렇지 않게 가고 있다”며 “(이런 상황을) 방치·방기하는 것은 집권당과 정치권의 역할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비공개 회의에서는 일부 의원들이 “(조 원내수석부대표의 발언 강도가) 너무 셌다. 자제하자”는 지적도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유 원내대표는 “왜 이런 의총을 소집하느냐 문제부터 어느 방향이 맞느냐 문제까지 모두 논쟁을 해보자는 차원”이라며 의원들을 설득했다고 한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 관련기사 보기◀
[한·미·중 사드 갈등] 김무성 “사드 문제는 정부 몫” vs 유승민 “의총서 논의하겠다”
입력 2015-03-18 02:41 수정 2015-03-18 09: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