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司正’ 전방위 확산] 포스코 해외 ‘비자금 저수지’ 추적 檢 수사력 집중

입력 2015-03-17 03:29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검사 조상준)는 포스코건설의 해외 ‘비자금 저수지’ 추적에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검찰은 포스코건설이 이번 수사의 단서가 된 ‘베트남 비자금’ 외에도 여러 해외 건설현장을 그룹 차원의 비자금 조성 창구로 활용했을 수 있다고 의심한다. 지난 13일 포스코건설 압수수색 당시 특수2부 수사 인력 대부분을 투입한 것도 이런 단서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15일부터 포스코건설의 해외건설, 재무, 감사실 임직원 등 10명 안팎을 소환조사했다고 16일 밝혔다. 포스코건설에서 베트남 건설사업을 담당해온 박모(52) 전 동남아사업단장 등은 2009∼2012년 현지 하도급업체에 지급하는 대금을 부풀리는 수법으로 거액 비자금을 조성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이 파악한 포스코건설의 비자금 규모는 100억원대다. 검찰 관계자는 비자금 규모가 더 늘어날 가능성에 대해 “어느 누구도 단정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소환 대상에는 2009년부터 5년간 포스코건설 대표이사를 지낸 정동화(64) 전 포스코건설 부회장도 올라 있다. 다른 재벌 총수와 달리 임기가 있는 정준양(67) 전 포스코 회장 체제에서 비자금이 만들어졌다면 여러 계열사를 동원하는 대신 ‘측근’인 정 전 부회장을 통했을 것이라는 게 검찰 판단이다. 정 전 부회장의 포스코건설 대표 재임 시기는 검찰이 파악한 베트남 현지 비자금 조성 시기와 맞물린다. 그는 지난 정부에서 ‘왕차관’으로 불린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과도 친분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1차로 해외 비자금 저수지의 실체를 확인한 뒤 모인 자금이 흘러들어간 곳을 수사할 계획이다. 부정하게 마련된 자금이 그룹 경영진 및 지난 정부 실세들에게 흘러갔는지 밝히는 게 향후 수사의 핵심이 될 전망이다. 제18대 국회 정무위원들은 정 전 회장의 비자금이 ‘영포회’(경북 영일·포항 출신 모임)에 제공됐다는 의혹을 수차례 제기했다.

권오준 포스코 회장은 이날 서울 포스코센터에서 임원회의를 열어 “국민과 주주들에게 심려를 끼쳐 유감”이라며 “기업윤리를 최우선으로 지켜나가는 한편 본연의 업무에 최선을 다해 달라”고 임직원들에게 당부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