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교통사고 58% 학교 인근·1학년 최다… 서울시 빅데이터 분석 교통정책 마련

입력 2015-03-17 02:48

서울시가 2011∼2013년 서울에서 발생한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를 분석해 보니 58%가 초등학교 반경 300m 이내에서 발생했고, 갓 입학한 만 7세 어린이 사고비율이 13.2%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2012년 과속방지턱 62곳을 신규 설치한 곳 반경 30m 이내의 교통사고는 설치 전과 비교해 60%, 보행자 사고는 80%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는 이런 분석을 토대로 올해 사고 발생 상위 50개 초등학교 앞 도로에 과속방지턱을 설치하고 교육청과 협력해 초등학교 저학년 어린이를 대상으로 교통안전 교육을 강화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공공과 민간기관이 보유한 1400억여건의 다양한 빅데이터를 분석해 아동·노인 등 교통약자별 맞춤형 교통사고 방지대책을 마련했다고 16일 밝혔다.

교통정책에 활용한 빅데이터는 교통안전 시설물, 도로별 차량속도, 교통사고 내역, 위험운전 행동데이터, 유동인구, 기상정보 등이다.

시는 연내 전체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소 335곳에 무단횡단 금지시설을 설치하고 정류소 양 끝에 방호 울타리를 보강할 계획이다.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중앙 버스전용차로 정류소 1곳당 무단횡단으로 인한 교통사고 발생 건수가 0.81건으로 일반 가로변 정류소(0.15건)에 비해 5.4배 더 많았다는 분석 결과가 이런 정책으로 이어졌다. 무단횡단 교통사고가 많이 발생한 곳은 청량리역, 신설동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 미아삼거리역 인근 중앙 버스전용차로 건널목으로 나타났다.

시는 노인들이 자주 찾는 전통시장과 공원 등에 무단횡단 금지시설 설치를 확대하기로 했다.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가 노인보호구역으로 지정된 노인종합복지관, 경로당 인근보다는 전통시장과 종묘·탑골공원 등 공원 주변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다는 데이터 분석 결과를 정책에 반영한 것이다.

시는 또 음주운전 교통사고의 가해자 사망률이 51.6%로 일반 교통사고(28.3%)의 1.8배이고 가해자는 30대가 32.8%로 가장 많았으며, 운전면허 경력은 5년 이하가 49.9%를 차지했다고 설명했다.

시는 음주운전 단속 시 참고할 수 있도록 경찰과 도로유형별 음주운전 교통사고 다발지점을 공유할 예정이다.

김기병 시 통계데이터담당관은 “교통·안전·복지 분야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행정에 도입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만들어내겠다”며 “분석 결과는 서울시 열린데이터광장을 통해 시민에게 개방하고 있다”고 밝혔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