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폭침 사건 5주기를 열흘 앞둔 시점에 또 다시 ‘대북전단 살포’ 긴장감이 한반도를 엄습하고 있다. 탈북자 단체와 보수 단체들이 천안함 5주기인 26일을 전후로 전단 살포에 나서겠다고 선언했기 때문이다. 북한은 즉각 이를 선전포고로 간주할 것이라고 밝혀 실제 이들의 행동이 감행될 경우 남북 사이의 무력충돌이 벌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자유북한운동연합 박상학 대표는 16일 “천안함 폭침 5주기인 26일쯤 예정대로 대북전단을 살포할 것”이라며 “대북전단 50만장과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 암살을 다룬) 영화 ‘인터뷰’ 편집분이 담긴 USB와 DVD를 5000개씩 날려보낼 것”이라고 밝혔다. 박 대표는 이번 살포에 자유북한운동연합뿐 아니라 보수 단체인 국민행동본부 등 5개 단체가 참여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정부의 대북전단 살포 자제 요청은 아직 받지 않았다”며 “정부가 공문으로 자제 요청을 해온다고 해도 우리는 전단 살포를 강행할 것”이라고도 했다. 또 “다음달 초에도 미국 인권재단(HRF)을 비롯한 외국 단체들과 대북전단을 살포할 계획”이라고 부연했다. 이들이 대규모 전단 살포에 다시 나서려는 것은 겨울이 지나 풍향이 북한 쪽으로 불어 살포가 용이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이들의 전단 살포가 실제로 이뤄질 경우 이달 말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되는 한·미 합동 군사훈련과 함께 한반도 정세의 긴장감을 최대치로 끌어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북한은 이미 수차례 천명한 대로 우리 측을 향한 발포 등 전례 없는 무력대응에 나설 개연성이 다분하다.
대남 선전용 웹 사이트 우리민족끼리는 “북침 전쟁연습이 한창 벌어지는 속에서 또다시 감행되게 될 인간쓰레기들의 삐라(대북전단) 살포 행위는 공공연한 선전포고”라고 위협했다.
박수진 통일부 부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을 통해 “대북전단 살포가 해당 지역 주민들의 신변 안전에 명백한 위험이 될 경우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
“대북전단 50만장 살포” 남북 긴장… 보수단체 26일 전후 예고
입력 2015-03-17 0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