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도발에 맞선 독도수호 전위대… 10주년 맞은 ‘경북도 독도정책관실’

입력 2015-03-17 02:58
10년 동안 일본의 공세에 맞서 다양한 영토대책사업을 추진해온 경북도 독도정책관실 직원들이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경북도 제공

“일본의 도발에 가장 슬기롭게 대처하기 위해 늘 연구하고 있습니다.”

경북도가 일본의 독도 도발에 조직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설치한 ‘독도정책관실’이 16일로 개설 10주년을 맞았다.

경북도 독도정책관실이 설치된 것은 2005년 3월 16일이다. 일본 시마네현이 일제의 독도 불법편입 100주년을 맞아 ‘죽도(竹島·독도의 일본식 표현)의 날’ 조례를 제정한 직후였다.

처음 전담요원 4명의 ‘독도지킴이팀’으로 출발한 독도정책관실은 이후 10년 동안 일본의 집요하고 지속적인 독도 공세에 맞서 독도수호의 중심축 역할을 맡아왔다.

독도정책관실은 설치 이듬해인 2006년 10월 ‘경북도 독도거주 민간인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해 독도 정주주민에 대한 생계비 지원 근거를 마련했다.

이 조례는 2013년 독도 1호 사업자 김성도·김신열씨 부부가 ‘독도사랑카페’를 개설해 경제활동을 하는 것으로 이어졌다.

2010년에는 ‘독도 명예주민증제도’를 시행해 지난해 말까지 1만7132명(외국인 30개 국가 211명 포함)에게 주민등록증을 발급, 독도사랑운동을 확산시켰다.

독도정책관실은 전문적인 연구를 통해 독도와 관련해 세계인이 공감하는 논리를 개발하고, 체계적인 독도교육을 통한 민간외교관·국외홍보요원 양성사업도 벌였다.

학술연구단체인 독도사료연구회를 운영해 일본 사료인 ‘죽도고’ ‘죽도기사’ ‘독도관계 일본고문서1’을 완역했다. ‘죽도문제 100문 100답 비판서’를 내면서 독도영토주권 논리 개발에도 기여했다.

또 독도뮤직페스티벌, 뱃길체험, 독도문예대전, 독도기념품 공모전, 대한민국 독도사랑대축제, 독도사랑 한복 패션쇼, 독도 깃발 및 독도국민가곡 보급 등 다양한 문화·예술행사도 열었다.

이상욱 경북도 동해안발전본부장은 “일본의 도발에 단호하게 대응하면서 중앙정부가 직접 하기 어려운 독도관리, 주민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지속적으로 벌여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대구=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