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통법 후 확 내려간 통신요금

입력 2015-03-16 02:56
지난해 10월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 시행 이후 이동통신서비스 가입요금 수준이 이전보다 18%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이동통신서비스 가입요금은 평균 3만7007원으로, 단통법 시행 전인 7∼9월(4만5155원)보다 8148원 내려갔다. 단통법 이후 고가 요금제보다 중저가 요금제를 선호하는 현상도 두드러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달 기준으로 5만원대 이하 중저가 요금제 비중은 90%에 달한 반면에 6만원대 이상 고가 요금제 비중은 10%에 불과했다. 이용자 10명 가운데 9명은 중저가 요금제를 택했다는 얘기다. 중저가 요금제 중에서도 3만원대 이하 저가 요금제가 확실한 대세로 자리잡아가는 모양새다.

중저가 요금제 비중은 단통법 시행 초반 불안정한 시장 분위기 속에 다소 부침을 겪었지만 이후 꾸준히 세를 불려 지난달에는 60% 선에 안착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가입요금이 하락하고 있음에도 가계통신비 부담은 기대만큼 크게 줄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3G 요금제 약정이 만료된 이용자 대다수가 LTE 요금제로 갈아타는데 LTE 요금제는 같은 등급 간에 있는 3G 요금제에 비해 다소 비싼 경향을 보이기 때문이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