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과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의 17일 청와대 회동에 국민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박 대통령과 문 대표가 2012년 대통령 선거 후 공식석상에서 사실상 처음 만나기 때문이다. 두 사람이 관계 설정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정국의 향배가 결정된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분명한 것은 이번 3자회동이 국민들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주는 계기가 돼야 한다는 점이다. 여야는 대선 이후 갈등과 반목의 정치를 지속해 왔다. 국민들이 화해와 협력의 정치를 간절하게 주문했음에도 오불관언이었다. 박 대통령은 집권 3년차를 맞아 야당으로부터 초당적 협력을 얻어내는 일이 절실하다. 문 대표는 야권의 유력한 대선주자로서 안정적인 리더십을 선보일 때다. 그런 만큼 대통령과 여야 대표들은 진정성 있는 대화를 통해 가시적인 성과를 반드시 이뤄내야 한다.
박 대통령은 이번 회동을 자신의 최대 약점인 불통 이미지를 씻어내는 계기로 삼을 필요가 있다. 그동안의 국정난맥과 인사 실패는 소통부재에서 비롯됐음을 박 대통령이 모를 리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실세 야당 대표와 만난 자리에서 정치적 반대편의 의견을 경청하는 자세를 보여주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할 말이 많겠지만 이번에는 들어주는데 치중하란 얘기다. 그렇게 하는 것이 야당의 협력을 이끌어내는데 훨씬 더 효과적일 수 있다.
박 대통령은 회담 의제로 언론에 발표된 중동순방 결과와 민생경제에 한정하려 해선 안 된다. 야당 대표와 모처럼 머리를 맞대는 자리임을 감안해 안보를 포함한 국정 전반에 대해 논의하겠다는 열린 자세를 취해야겠다. 국무회의나 수석비서관회의에서 했던 발언을 똑같이 되풀이하는 것은 절대 금물이다. 문 대표한테 국회에서의 협력을 요청하되 야당의 요구를 전향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윈-윈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문 대표에게는 이번 회동이 낡은 이념의 틀에 갇혀 있다는 자신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개선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유능한 경제정당’을 표방하며 중도·보수층 끌어안기에 나선 상황에서 이념적 선명성은 일단 접어두는 게 좋겠다. 대통령으로부터 얻어낼 것은 얻어내면서도 양보할 것은 양보하는 유연한 리더십을 국민들이 기대하고 있다는 사실을 명심하기 바란다. 국정 현안에 대해 시각차만 확인하고 헤어질 경우 대통령뿐만 아니라 문 대표의 정치적 입지도 좁혀질 수밖에 없다.
김 대표는 이번 회동을 성사시킨 주역답게 실질적인 성과를 이끌어내는 데 주력해야 한다. 대통령과 보조를 맞춰야 하는 집권당 대표로서 자신의 존재감을 부각시키기보다 여야 영수 간 대화가 원만히 진행될 수 있도록 돕는 데 중점을 둬야겠다.
[사설] 靑 3자회동, 국민 박수받는 자리 됐으면
입력 2015-03-16 0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