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성형한류 붐’ 훼손하는 병원 위생관리·감독 강화를

입력 2015-03-16 02:31
‘성형 일번지’로 불리는 서울 강남 일대 성형외과 수술실의 여건이 열악한 것으로 조사됐다. 수술실이 처치실에 가까울 정도였고 감염 우려도 높게 나타났다. ‘성형한류 붐’을 무색하게 할 정도다. 이러니 최근 강남 일대 성형외과에서 의료사고가 잇따르는 것이 아니겠는가.

강남구보건소가 지난해 11∼12월 관내 360개 중 120개 성형외과를 대상으로 지도·점검한 결과에 따르면 수술공간 부족으로 수술실과 준비실을 함께 사용하거나 수술실 베드를 장비 등을 이동하기 위한 롤스크린으로 쓰고 있는 병·의원이 많았다. 심지어 수술실에 있어서는 안 되는 소독기구와 장비 등을 보관하는 경우도 있었다. 의료폐기물의 경우 공간이 협소해 폐기물 용기를 환자용 수술 베드와 가깝게 배치하는 곳도 상당수였다.

국제미용성형수술협회(ISAPS)에 따르면 한국은 인구 1만명당 미용·성형 건수가 131건으로 세계 1위다. 성형시장은 45억 달러로 세계 성형시장(200억 달러)의 4분의 1을 차지하고 있다. 2009년 외국인 의료관광객 유치가 본격화되면서 연간 21만명의 외국인 환자가 한국을 찾는다. 이 가운데 2만4000여명이 성형외과 고객이고 중국인이 그중 67%를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성형한류’가 양적으로 성장하고 있지만 질적으로는 미흡하다. 지난 1월에는 강남의 한 성형외과에서 수술 받던 중국인이 뇌사 상태에 빠지기도 했다. 중국의 인터넷 포털 바이두에는 “수술실 여건이 엉망이라고 한다”는 글이 쏟아졌다.

이런 비난은 이번 조사를 통해 확인되고 있다. 의료 당국은 전국 성형외과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 현행 의료법에는 수술실 설비에 대한 규정이 없어 강력한 행정조치가 어렵다고 한다. 감염관리 기준 등을 명시한 수술실 규정이 의료법에 포함돼야 하는 이유다. 명실상부한 ‘성형관광 중심지’로 거듭날 수 있도록 관계자들이 모두 나서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