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극단·명동예술극장 내달 통합… “중복 기능 해소·시너지 효과”

입력 2015-03-16 02:47
오는 4월 국립극단과 통합을 앞둔 명동예술극장의 모습. 명동예술극장 제공

국립극단과 명동예술극장이 오는 4월부터 ‘재단법인 국립극단’으로 통합된다.

15일 국립극단과 명동예술극장에 따르면 두 단체의 법적 통합 절차는 사실상 마무리 됐고, 오는 26일 양측 이사회의 최종 추인만 남겨둔 상태다. 문화체육관광부의 전통공연예술과 관계자 역시 “국가가 운영하는 연극 제작 단체 및 극장의 중복 기능을 해소하고 극장 간 연계를 통한 시너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 두 단체가 통합된다”며 “현재 김윤철 예술감독이 이끄는 국립극단이 명동예술극장까지 총괄하는 형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같은 법인 소속이지만 관광객 대상 전통 상설공연을 하고 있어 연계성이 낮았던 정동극장은 명동예술극장과 분리돼 독립적으로 운영된다.

서울역 뒤편 서계동의 옛 기무사 부지에 자리 잡은 국립극단은 2010년 국방부 승인을 받은 뒤 가건물을 지어 공연장과 연습실로 사용해왔다. 한국 연극의 척도가 되어야 할 국립극단이 제대로 된 공연장 없이 운영돼 온 셈이다. 게다가 이 부지는 2017년부터 정부가 추진하는 새로운 복합문화공간으로 활용될 예정이어서 국립극단으로서는 안정적인 공연장이 필요했다. 이에 따라 국립극장 복원사업 일환으로 2008년 개관한 명동예술극장이 새롭게 국립극단의 본거지가 될 전망이다.

문체부는 2013년부터 문화예술 공공기관 간 통합을 추진해 왔다. 중복된 기능을 조정하고 경영을 합리화하자는 취지다. 앞서 지난해 5월 대학로예술극장, 아르코예술극장 등 5개 공연장을 운영하는 한국공연예술센터와 국립예술자료원이 한국문화예술위원회로 합쳐졌다. 당시에도 국립극단과 명동예술극장의 통합이 추진됐지만 시너지 효과에 의구심을 가진 기획재정부 반대로 무산된 바 있다.

문체부의 문화예술 공공기관 통합은 앞으로 더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예술경영지원센터를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 통합하는 방안도 거의 확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문체부가 국립오페라단의 예술의전당 편입을 다시 추진할지도 관심이다. 문체부는 2013년 구미의 오페라하우스처럼 국립오페라단을 예술의전당 안에 포함시키는 안을 거론했다가 성악계의 거센 반발에 부딪혔다. 성악계는 국립오페라단의 위상과 기능이 축소될 수 있다며 반대했다. 하지만 예술의전당 아래 오페라단, 발레단, 합창단, 오케스트라단이 종합적으로 협력하는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는 게 문체부의 일관된 입장이다.

장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