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평창올림픽 분산 개최 불가” 재확인

입력 2015-03-14 02:21
정부는 일각에서 계속 제기하고 있는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의 분산 개최에 대해 “있을 수 없는 일”이라는 점을 명확히 했다.

정부는 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완구 총리 주재로 제6차 2018 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올림픽대회 지원위원회 확대회의를 열고 평창올림픽 분산 개최 불가 방침을 재확인했다.

김종덕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회의가 끝난 뒤 브리핑을 통해 “더 이상 분산 개최에 대한 논의는 없다”며 “그간 분산 개최에 대해 논의한 것은 국민 세금을 아끼자는 노력의 차원이었지만 그런 부분들이 다 정리가 됐기 때문에 더 이상의 논의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총리도 회의에서 “분산 개최는 안 된다는 문체부와 조직위, 강원도의 입장을 확인했다”며 “조직위를 중심으로 평창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하기 위해 범국가적인 관심과 지원, 협력을 다하자”고 강조했다.

회의에서는 동계올림픽을 치르기 위해 필요한 12개 경기장 중 11개가 착공 또는 설계가 완료된 상황에서 유일하게 개최지가 정해지지 않고 논란이 있었던 스노보드·프리스타일 경기를 보광 휘닉스파크에서 열기로 결정했다. 또 평창 선수촌 건설 문제와 관련해 법령 개정을 통해 재산세 중과세 문제 해법을 모색하기로 공감대를 형성했다. 올해와 내년 중 각 부처에서 우수인력 101명을 지원하기로 하고, 국내외 민간전문인력 선발을 위한 지원도 확대키로 했다.

문체부와 대한체육회 및 대한장애인체육회는 평창동계올림픽에서 전 종목 출전, 메달 20개, 종합 4위의 성과를 내고 패럴림픽에서는 금, 은, 동메달 각 2개씩을 따내 종합 성적 10위 진입 등의 성과를 목표로 경기력을 향상시키기로 했다. 전 세계 10억명 이상이 시청할 것으로 예상하는 개·폐회식은 최고의 예술감독과 자문그룹 지원을 통해 세부계획을 2016년 초까지 마련하기로 했다.

한편 정부는 올림픽 조정협의회, 국무조정실장 주재 현안점검회의, 대회지원위원회의를 수시로 개최해 주요 현안을 신속히 조정·정리함으로써 대회 준비 지원체계 및 홍보 지원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모규엽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