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 해커, 또 原電 자료 공개… 5차례 공개 문서와 비슷한 수준

입력 2015-03-13 02:34
지난해 말 한국수력원자력의 원전 자료 등을 인터넷에 공개하며 협박했던 자칭 ‘원전반대그룹’이 2개월여 만에 추가 자료를 공개했다. 이번엔 금전을 요구하고 나섰다.

‘원전반대그룹’은 12일 오후 트위터에 올린 ‘대한민국 한수원 경고장’이라는 글에서 “북유럽·동남아·남아메리카 여러 나라들에서 원전 자료를 사겠다고 한다”면서 “몇 억 달러 아끼다가 더 큰돈 날려 보내지 말고 현명한 판단을 하시라”면서 직접 연락을 취할 이메일 주소를 공개했다. 그는 “자료를 통째로 팔았다가 박근혜 대통령의 원전 수출에 지장이 될까봐 두렵네요. 윤(상직) 장관, 시간을 주겠으니 잘 생각해 봐라”고 덧붙였다.

그는 지난해 말 이후 활동을 중단한 것 관련, “크리스마스를 무난히 넘긴 것은 국민들의 안전이 소중해서인데 우리가 너무 조용히 있었나 보다”고 언급했다. 이어 한수원과 정부 합동수사본부의 수사를 지칭, “지난해 바이러스 7000여개를 찾았다는 소식을 듣고 우리도 축하한다”고 비꼰 뒤 “그런데 나머지 9000여개 바이러스들은 무슨 명령을 기다리고 있을까요. 바이러스들이 원전에서 연락이 왔다”고 협박했다. 글에 첨부된 자료는 박 대통령과 유엔 사무총장의 지난 1월 초 통화내용이라는 속기 한글파일과 원전 관련 도면과 실험과정을 담은 동영상 등 총 12개 파일로 돼 있다. 한수원은 즉각 공개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말 원전반대그룹이 5차례에 걸쳐 공개했던 문서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한수원 측은 “지난해 사이버위협 이후 현재까지 원전의 안전운영은 물론 업무용 네트워크에 영향을 주는 어떤 일도 발생하지 않고 있다”면서 “이런 사이버심리전에 불안해하지 않길 당부드린다. 이번 건도 즉각 수사를 요청했다”고 강조했다. 정부 합동수사단은 당시 공개된 자료가 악성코드를 통해 유출됐다고 보고 수사를 벌이고 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