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에 잡히는 책] 한·일 경제협력 비화 30년 만에 밝히다

입력 2015-03-13 02:52

꼬일 대로 꼬인 한·일 관계의 앙금을 풀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저자는 주한 일본대사를 지내고 도쿄 2020올림픽 유치위원회 평의회 사무총장으로 재직 중이다. 1981년 4월부터 1983년 1월까지 일본과 한국 사이에서 이루어졌던 100억 달러에 달하는 경제협력을 둘러싼 교섭 과정을 통해 한·일 관계의 실타래를 풀어내는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한·일 경제협력 비화를 30년 만에 밝혔다.

“한국 정부 미친 것 아니야?” 일본 외무성의 기우치 아키다네 아시아국장이 소리쳤다. 노신영 외교부 장관이 스노베 주한 일본 대사에게 차관 60억 달러, 수출입은행 융자 40억 달러를 요청했기 때문이다. 1979년 10월 박정희 피살, 12·12 쿠데타, 1980년 광주민주화 항쟁 등 혼란스런 상황 가운데 권력을 장악한 신군부 세력은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위해 500억 달러 이상의 외화가 필요했다.

1945년 8월 10일 특공대로 출격하기에 앞서 치도세 비행장에 집결했던 기억을 갖고 있는 소노다 일본 외무장관이 고개를 끄덕였다. 한·일 경제협력은 그렇게 성사됐다. 두 나라 사이의 소통이 일등공신이었다.

그런데 지금은 어떤가. 독도·종군위안부·역사교과서 등 문제가 발생하면 반감이 즉각적으로 드러난다. 가깝고도 먼 이웃나라, 한·일 관계에 교훈을 던지는 책이다. 조진구·김영근 옮김. 이광형 문화전문기자 ghlee@kmib.co.kr